적정성평가때 혈액투석 환자들은 최상의 치료?
진동찬 교수 '평가기간 전후 편차 커, 단기 아닌 지속 평가 실시 필요”
2018.11.16 05:04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말기신부전 등 요인으로 투석환자와 투석의료기관 수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이 혈액투석적정성 평가를 1년 내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전후(前後)로 환자 당 의료비용이 6~8%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심평원 평가가 없을 때는 의료급여 환자의 정액수가로 인해 투석환자에 대한 약물 등 적절한 치료가 없었다는 뜻이다.
 
15일 보건복지부·국민건강보험공단·심평원 등이 그랜드 워커힐 호텔 코스모스홀에서 개최한 ‘보건의료 BIG DATA 활용성과 심포지엄’에서 가톨릭의과대학 진동찬 교수[사진]는 심평원의 2차(2010년)·3차(2012년)·4차(2014년) 혈액투석 적정성평가를 분석해 발표했다.
 
진 교수에 따르면 환자 당 의료비용 차이는 2·3·4차 평가 전후 3개월 평균이 평가기간에 비해 6~8% 적었고, 3차례 평가기간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실제로 환자의 청구액 항목 분석을 보면 투석비용을 제외한 약제·검사·혈관성형 등 환자당 청구액 평균은 평가기간동안 높았다.

또 평가 등급별 환자 당 총 약제비용도 적정성 우수평가기관인 1등급과 우수하지 않은 4등급인 기관의 편차가 심했다.
 
더욱이 적정성평가 등급에 따른 환자 생존율은 2등급이 가장 높았고, 이어 1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으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진 교수는 “의료기관들이 적정성평가를 할 때는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적정성평가가 끝나면 소홀하다”며 “지속적인 혈액투석 적정성평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3개월 혹은 6개월 단기 적정성평가는 문제가 많고 오히려 1년을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투석환자 통합 정보시스템’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됐다. 말기신부전환자를 등록하고, 투석치료 결과 자료 등을 공유하며, 의료기관 평가와 연계해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 교수는 “환자들이 투석기관을 옮기기 때문에, 투석환자 통합 정보시스템을 구축해서 심평원 등과 연계해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심평원이 공개한 4차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는 6만 9000명 가량이고, 비용은 1조 64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1인당 연간 2400만원 가량을 혈액투석에 쓰는 셈이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