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환자 생존율 45%→70%···항암제 91% 외국제품
2020년 키트루다 1557억 타그리소 1065억 아바스틴 1040억, 10위내 국산약 전무
2022.01.05 05:46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양보혜 기자] 2020년 국내 항암제 매출액의 91.3%를 다국적 제약사 품목이 차지했다.

이에 정부가 국내 항암 신약 개발을 적극 지원해 항암주권을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주최하고 국립암센터가 주관, 보건복지부와 대한암학회가 후원한 '항암주권과 항암신약 개발 국회 정책토론회'에서 이 같은 논의가 이뤄졌다. 

암 치료 기술 발전과 새로운 치료제 등장으로 인해 지난 20년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45%에서 70%로 크게 개선됐다. 

이 같은 치료 성과는 표적항암제와 면역항암제 등 혁신 신약들이 기반이 됐다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 중인 항암제는 대다수가 다국적 제약사들로부터 수입한 약제로, 우리나라가 개발한 항암제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실제 2020년 국내 항암제 매출을 살펴보면 글로벌 제약사들의 품목 18개가 전체 매출의 91.3%(약 9904억원)를 차지했다. 반면 국내 항암제 매출은 938억원으로 8.7%에 불과했다. 

제품별로는 MSD '키트루다'가 1557억원으로 매출 1위에 올랐다. 2위는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 1065억원 , 3위 로슈 '아바스틴'이 1040억원으로 집계됐다. 상위 매출 10위권에 국내 제약사는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15위에는 GC녹십자셀 '이뮨셀엘씨', 16위 셀트리온 '허쥬마', 18위 대웅제약 '루피어데포', 22위 JW중외제약 '뉴트로진', 23위 일양약품 '슈펙트', 24위 종근당 '캄토벨주' 등으로 확인됐다. 

박중원 국립암센터 항암신약신치료개발사업단장은 "2020년 항암제 매출을 살펴보면 면역항암제 '키트루다'가 가장 많이 쓰였다"며 "상위권 내 포진한 약들은 대부분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수입한 약제들로 우리나라가 개발한 항암제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항암제 개발은 고비용에 고위험, 정부 지원 확대 필요"

이에 고가 약제에 대한 국민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항암제 분야에서 국가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선 산업계와 의료계가 협력하고, 정부가 제도적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귀현 한미약품 부사장은 "항암제 개발은 다른 약제에 비해 실패율이 높고, 비용도 많이 들어 회사가 부담할 리스크가 매우 크다"며 "통상 임상 2상 과제에 정부 지원금이 제공되는데, 그 규모가 35억원 정도"라고 말했다.

이어 "제약사들이 항암 후보물질 임상을 할 때는 1개 과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임상을 병행하기 때문에 굉장히 적은 지원금"이라며 "이런 부분의 개선과 함께 신약 개발에 필요한 전문가 육성에도 관심을 갖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방영주 방앤옥컨설팅 대표(전 대한암학회 이사장)는 "국산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으로 정책을 꾸준히 이어가야 하는데, 정권이 바뀔 때마다 변화하고 성과를 내는데 급급하니 한계가 있다"며 "게다가 의약품 관련 사건이 하나 터지면 안전성을 강화한다며 규제를 너무 쉽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규제가 한 번 만들어지면 철폐하는데 10년이 걸린다. 충분히 숙고하고 신중하게 접근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업계 제안에 대해 정부는 기존 사업에 대한 검토와 함께 향후 지원 계획 및 방향성을 밝혔다. 

성창현 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과기부 등 정부부처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의견이 바이오는 다른 산업과 달리 기획서 내용으로 우선순위를 평가하기 쉽지 않다"며 "과거와 달리 당위성만으로는 예산 지원 등에 있어 설득이 되지 않아, 이런 부분을 지원코자고 한다"고 언급했다.

성 과장은 "우리나라 R&D 예산 규모가 27조원 정도로 GDP 대비 지원규모는 전 세계 1~2위를 다툰다"며 "앞으로 고민할 부분은 27조원에 대한 포트폴리오가 제대로 짜여져 있는지, 어떤 전략을 써야 성공 가능성이 높은지에 대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미선 식약처 첨단바이오융복합과장은 "식약처는 항암 신약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두가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항암 신약 제품화를 위해 각 단계마다 적극 지원하고 평가기준이 전무한 신기술의 경우 공동연구와 출원 등에 함께 참여해서 선제적인 규제과학을 펼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