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종합내과 김은선 교수 연구팀이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흡인성 폐렴 위험이 높은 노인 환자에서 GUSS(Gugging Swallowing Screen)를 활용한 '흡인예방 QI(quality improvement)'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흡인성 폐렴은 음식물, 침 등이 기도로 잘못 들어가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노인 환자에게는 치명적이다. 노화가 진행되면 삼킴 장애가 흔히 발생하고, 이로 인한 흡인 위험이 높아진다.
특히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상당수 노인 환자들은 이미 흡인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가 어렵고 재발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적절한 타이밍에 흡인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식이 진행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흡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하는 방법에는 VFSS(Videofluroscopy study)와 GUSS가 있다.
GUSS 검사는 흡인 장애를 4단계로 평가하는 스크리닝 검사다. 침 삼킴, 침 흘림, 목소리 변화, 기침 또는 가래 제거 행동 등을 평가하고 식이를 관찰하는 비침습적 방식이며 병상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흡인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검사는 뇌졸중 환자에서 삼킴 장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도구로써만 널리 사용돼 왔으며 급성기 내과 질환 환자에게도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뤄진 바 없다.
이에 분당서울대병원 종합내과 김은선 교수 연구팀은 급성기 내과 질환 환자에서 GUSS를 이용해 흡인 위험이 높은 환자를 식별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식이 교육 및 재활교육을 제공하는 '흡인예방 QI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임상적 효과를 확인코자 했다.
연구팀은 지난 2021년 4월부터 2023년 3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 급성기 내과 질환으로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흡인예방 QI 프로그램을 시행했다.
이들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96명과 매칭시켜 금식 기간 및 영양상태, 병원 사망률, 90일 이내 폐렴으로 인한 입원율 등을 비교해 흡인예방 QI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군 대비 금식기간, 영양상태, 입원일수 및 원내 사망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90일 이내 폐렴으로 인해 재입원 확률은 흡인 예방 QI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환자군에서 약 12배 높음을 확인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종합내과 김은선 교수는 "추가 연구를 통해 GUSS 프로그램이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고 장기적인 효과를 검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