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가 콘택트렌즈 사용과 과불화화합물 노출 간 연관성을 규명했다.
과불화화합물(Per- and Poly Fluoroalkyl Substances, PFAS)은 아웃도어 의류, 식품 포장재, 종이빨대, 프라이팬,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방수코팅제 물질군이다.
화학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고 환경과 생체 내 오래 잔류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s)’라고 불린다.
과불화화합물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몸속에 축적돼 갑상선 질환, 고콜레스테롤혈증, 임신성 고혈압, 신장암, 정소암, 당뇨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미국 소비자단체(Mamavation)는 콘택트렌즈 제품에서 과불화화합물로 추정되는 유기 불소가 검출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에 연구팀은 콘택트렌즈를 주로 사용하는 청년 인구에서 과불화화합물 노출이 부가될 가능성을 고려해 청년층의 콘택트렌즈 사용이 체내 과불화화합물 축적 농도를 높이는지 확인했다.
연구는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됐다. 20세부터 39세까지의 미국인 7270명을 대상으로 혈중 과불화화합물의 체내 축적량을 확인했다.
연구결과 콘택트렌즈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는 대상자에 비해 혈중 과불화화합물의 총 바디버든(body burden, 체내 축적 유해물질)이 1.2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개별 과불화화합물의 혈중 농도는 콘택트렌즈 사용자에서 PFOA 0.41 ng/ml, PFHxS 0.28 ng/ml, PFOS 1.75 ng/ml 유의하게 높게 검출됐다.
이는 과불화화합물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교란 요인들을 통계적으로 제거하고 관찰한 결과다.
또한 PFOA의 노출로 인해 건강이 위험할 것으로 추정되는 인구는 콘택트렌즈 사용자 중 4.5 %, 콘택트렌즈 미사용자 중 3.9%로 추정됐다.
PFOA 노출로 인한 건강 영향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추정되는 인구는 콘택트렌즈 사용자 중 5.8%, 콘택트렌즈 미사용자 중 16.4%로 나타났다.
김동현 교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해 과불화화합물이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10~20대 청년들이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많이 착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건강 위해 가능성에 대해서 알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환경과학 분야 저명 학술지 ‘Chemosphere’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