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뇌졸중팀이 미국심장학회가 발행하는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 ‘Stroke’ 온라인판에 뇌경색 환자에서 감소한 혈류를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법을 발표했다.
뇌로 가는 혈관이 막혀 마비가 오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응급상황이 생기면 혈전 용해술, 혈전 제거술 등을 통해 막힌 혈관을 빨리 뚫어야 한다. 늦어질수록 심각한 장애를 남기거나 생명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힌 뇌혈관을 뚫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원인을 알 수 없이 가느다란 비정상적인 혈관이 생성되고 막히는 모야모야병, 뇌혈류 감소로 수술이 위험할 수 있는 동맥경화성 혈관 폐쇄다.
이에 뇌졸중팀(신경과 홍지만·이진수·이성준, 신경외과 임용철 교수)은 2016년 7월부터 2019년 7월까지 막힌 뇌혈관을 뚫기 힘든 급성기(증상발생 2주 이내) 혈관 폐쇄성 뇌졸중 환자 42명(모야모야병 11명, 만성 동맥경화성 혈관 폐쇄 31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치료법을 시행했다.
대상자는 부분마취로 구멍만 뚫은 환자군(21명)과 약물 및 구멍을 뚫는 병합치료 환자군(21명) 2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반구혈관재형성의 경우 구멍 단독군과 병합치료군이 각각 12명/21명(57.1%), 19명/21명(90.5%)에서 성공했다. 이어 혈관재형성 비율이 구멍 단독군의 경우 총 58개 구멍 중 30개(51.7%) 구멍에서, 병합치료군의 경우 총 58개 구멍 중 42개(72.4%) 구멍에서 혈관이 재생돼 병합치료군이 구멍 단독군에 비해 치료성적이 더 큰 것을 확인했다.
새로운 치료법은 크게 2단계다.
1단계는 새로운 혈관이 잘 생기도록 하는 약물 투여고, 2단계는 국소마취 하에 두개골(머릿뼈)에 작은 구멍을 뚫는 병합치료다. 그 결과, 두개골을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 위치한 좋은(혈류가 풍부하고 건강한) 혈관이 뚫린 구멍을 통과해 두개골 안쪽으로 뻗어나가 점차 뇌혈류가 안정적으로 흐르게 된다.
홍지만 교수는 “뇌졸중팀이 지난 10년 이상 연구한 치료법이 인정받게 돼 기쁘다”면서 “무엇보다 그동안 치료가 까다로운 급성기 뇌졸중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