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재택의료 정책⸱제도 활성화 선도 기관 지향"
이달 2일 학회 창립, 박건우 이사장 "공공의료 토대 위 민간의료와 돌봄 병행"
2023.04.03 05:04 댓글쓰기



"산재된 재택의료 제공 주체를 아우르고 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선도 기관이 되고자 합니다."


대한재택의료학회가 지난 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한국 재택의료 발전을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


학회는 이날 급속한 고령화 속에 재택의료가 노인 돌봄의 필수적 서비스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재택의료 '길라잡이'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박건우 이사장(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은 "고령화 및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재택의료가 노인 및 중증질환자, 장애인 돌봄을 위한 화두로 부상하고 있지만 재택의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와 의료 활성화는 미비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우리나라 재택의료는 공공의료 중심으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지만 의료기관 중심 의료체계는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며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우리나라도 재택의료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산재된 재택의료 제공 주체를 아우르는 선도 기관으로 한국 재택의료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해가겠다"고 강조했다.



"수가체계 뒷받침 안되면 제도 실패, 새로운 수가 모델 개방 등 적극 추진"


학회는 재택의료 활성화를 위해 특정 분야에 편중되지 않고 관련 여러 직역이 함께 일구어 나갈 방침이다.


이건세 회장은 "공공의료 토대 위에 민간의료 및 돌봄 부문이 힘을 합치면 재택의료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대한재택의료학회 창립 회원으로는 의료 및 돌봄 분야 전문가, 환우회, 헬스케어 기업 관계자, 언론인 등 다양한 구성원이 함께하고 있다.


학회는 또 비대면 진료, 메타버스 등 디지털 헬스케어와 재택의료를 결합해 의료 질 향상을 도모해가야한다고 역설했다.


강윤구 명예회장(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원장)은 "재택의료와 디지털 헬스케어는 융합과 활용을 촉진해가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비대면 진료는 아직 실증모델이 나오지 않은 만큼, 성공적인 사업모델을 통해 긍정적인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날 학회는 새로운 수가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정부도 재택의료 필요성을 공감하고 주요 정책 과제로 삼고 있지만 유인책은 미비하다는 지적이다.


박건우 이사장은 "재택의료도 수가 체계가 뒷받침 되지 못할 경우 열성을 쏟을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면서 "새로운 수가 모데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러 분석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