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제2의 반도체’와 같은 기간산업으로 육성을 공언한 ‘바이오헬스’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 지원체계 확립 및 제약사 등 민간의 투자 활성화가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신약 개발을 위한 범부처 국가신약개발사업 일원화와 정부 부처 간 협력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기술이전에 치중했던 과거의 행태를 버리고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국회 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린 ‘신약개발 연구촉진 및 바이오경제 혁신’ 토론회에서 이상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바이오PD는 이 같이 주장했다.
우선 정부는 혁신신약에 대해 범부처 국가신약개발사업으로 일원화하고, 부처별로 강점을 가진 부분은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예를 들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초과학 육성 및 생태계 활성화, 신약 분야 혁신 타깃 공급체계 마련 등 원천기술 확보 및 인력양성 역할이다.
보건복지부는 질병 극복 및 보건의료 치료 기술, 임상 중심 질병 개선 분야 등을 지원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기업 성장을 위한 제품 개발 및 고용 확대 등 바이오의약 산업 육성을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이상호 바이오 PD는 미국·중국·일본 등의 ‘중장기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미국은 ‘21세기 치유법안’을 통해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 촉진과 신속한 허가 모색, 맞춤의료를 통한 의료효과 제고 및 의료비 절감 위한 ‘정밀의료 추진계획’ 등을 세웠다.
중국은 규제완화·국가보험제도 한계·고령화로 인한 디지털 헬스케어산업 성장과 민간 의료서비스 및 외국 보험사 개입 허용, 바이오 분야를 전략형 신흥사업으로 선정해 오는 2020년까지 1360조~1700조원 규모로 성장시킨다는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바이오 PD는 “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자본·사람·인프라 등 빌드업 동력이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국내 제약기업 등 민간 부분의 행동을 촉구했다. 기존에 바이오의약 R&D 과제가 글로벌 기업으로의 기술이전을 목표로 했다는 점, 이로 인한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한계, 제품 경쟁력을 위한 차세대 개량신약 개발 지원정책·투자 부족 등을 언급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바이오의약기업 육성에 필요한 R&D 지원정책 수립, 개방형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시장 환경 마련 및 기업주도 성과 창출 정책·실행계획 수립,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기술 산업(CRO&CMO)의 글로벌 전문성 및 인력 확보 등이 제시됐다.
“생명공학법 개정 통해 바이오경제시대 총괄 법률 정립”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2일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안’에 대한 기대감도 나왔다. 개정안을 통한 ‘총괄 법률’ 정립 및 ‘전문기관’ 설립 등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윤유식 사단법인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회 부회장은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을 통해 바이오경제 시대를 대비하는 총괄 법률을 정립하고, 생명공학정책전문기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며, 산학연 혁신 주체 및 융합연구를 위한 의료기관지원의 법적 근거 마련은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
한편, 신약 개발을 포함한 바이오헬스 분야는 문재인 대통령이 ‘기간산업’으로 지칭할 만큼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이상호 바이오PD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세계시장은 지난 2016년 8조 5490억 달러였고, 고령화·ICT융합 등 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오는 2025년 14조 3591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