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국 의료기기업체 지원 강화와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 무역장벽에 이어 최근 사드 정국까지 더해지면서 의료기기의 중국시장 진출에 있어 희망의 메시지가 절실한 시점이다.
근래 중국의 의료기기분야 혁신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 주목할 것은 자체적 기술력 확보 및 자국 업체 성장을 위한 정책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이채현 항저우무역관에 따르면 최근 중국 공신부(工信部)가 ‘실버산업 스마트화 발전계획’을 발표하고 양로서비스 플랫폼에 사회자본을 투입시킬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가정용 로봇 및 스마트 간호기기, 휴대용 건강검진 디바이스 등 의료기기 제품 기업이 육성될 계획이다.
2015년에 시작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랜’도 2020년 완성을 목표로 진행되는 중이다. 각 주마다 한 곳 이상의 대형병원 및 중의학병원을 세우고 농촌지역 의료기기장비를 교체하는 등 의료환경 개선에 목적을 둔다. 이로 인해 중국 내 병원의 80%이상을 차지하는 공립병원은 자국 의료기기 비율이 70%를 넘도록 돼 있다. 중국 병원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 업체들은 20%의 민간시장을 공략해야 한다.
한국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측은 “브랜드 파워가 약한 기업은 변화 대응이 어려워 중국 의료기기 시장 접근이 여의치 않다. 직접적 판매망 확보도 거의 불가능하다”며 “현지 판매업체와의 완제품 판권계약이나 합작생산 등의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사드배치에 따른 한중관계 경색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의료기기업체 유더그룹은 올 3월 기업회의를 위해 약 1만2000여명에 달하는 직원이 인천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사드 정국 이후 4월에서 6월로 연달아 일정을 미뤘다. 경기도가 주최하고 킨텍스가 주관해 내달 19일 중국 청두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K-뷰티 엑스포도 취소됐다.
A의료기기업체 관계자는 “기존 수출입 계약은 유지하고 있으나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는 어려운 시점인 것 같다”면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추이 예측도 쉽지 않은 만큼 당장 진출 계획을 철회하고 방향을 튼다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며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을 토로했다.
실제로 중국 의료기기시장은 연평균 8%가 넘는 성장률을 꾸준히 보이고 있어 2019년에는 약 27조에 달하는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적극적 개척이 요구된다. 이에 높아져 가는 수출장벽 극복 일환으로 인허가와 관련한 정부의 지원을 늘리는 등 대책안이 모색되고 있다.
현재는 복지부가 추진하고 있는 현지화진출지원센터를 통한 지원이 대표적이다. 해당 센터는 의료기기업체의 법인설립 및 각종 행정절차와 교육에 관한 부분을 돕는다. TF팀을 구성해 진출기업의 기술문서가 평균 2~3년 걸리는 인허가 절차를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판로개척 및 네트워크 구축 지원사업도 진행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체외충격파 의료기기 개발 사업에 올해 19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에게는 최종적으로는 총 70억원에 이르는 비용이 투자되며 기기 개발시 인허가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자체에서도 지역 내 중소의료기기업체의 시장진출을 도우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강원·광주·부산 등 지역 중소기업청은 의료기기 분야 유망 중소기업을 발굴해 고성장 기업으로 육성하는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역 중기청 관계자는 “중소기업 가운데는 국가별로 다른 인증기준에 따른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수출을 포기하는 곳이 많다”며 “지자체 차원에서 선도기업을 지원·육성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