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실패 속 국내 연구진 '치매신약 후보물질' 발굴
KIST 박기덕·이창준 박사팀 '기존 한계 극복, 장기간 투여해도 인지기능 개선'
2019.03.24 21:30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백성주 기자] 글로벌 제약사의 연이은 치매 신약 개발 실패 소식이 들려오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치매 치료 약물 발굴에 성공,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해당 치매신약 후보 물질은 장기간 투여해도 효능이 사라지지 않고, 인지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지난 2017년 기술이전돼 현재 신약개발을 위한 영장류 기반 전임상을 진행 중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치매DTC융합연구단 박기덕 박사와 반응성교세포연구단 이창준 박사 연구팀이 융합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뇌에서 과생성되는 가바(GABA)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물질로 가바로 인한 치매환자의 기억력 저하 및 인지 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치료 후보 약물을 확인했다.


가바는 포유류의 중추신경계에 생기는 억제성 신호 전달 물질이다. 반응성 성상교세포에서 가바가 많이 생성되면 기억력 저하나 인지 장애를 유발한다.


기존 약물은 초기에 가바의 양을 줄여 인지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지만 장기간 투여 시 생체 내 보상기전인 대체기전이 작동하기 시작하면서 가바의 양이 다시 증가하고, 인지 장애가 다시 생기는 현상을 발견했다. 


반면 신약 후보약물은 장기간 투여해도 대체기전을 작동시키지 않아 지속적으로 인지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유전자 변이 실험용 쥐에 투여해 다양한 행동 실험을 통해 인지기능이 회복된 것은 물론 적은 용량으로 장기간 투여한 시험에서도 월등한 인지기능 개선 효능을 확인했다. 


특히 고령환자에게 장기간 투여하는 치매치료제로 필요한 약물성(ADME/Tox)을 검증한 결과, 뇌 속으로 매우 높은 효율로 전달됐다. 생체 독성 및 다른 신경계에 부작용이 없는 뛰어난 안전성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사이언스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 최신호의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후보 약물은 치매에 의한 인지장애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면서 “우수한 효능뿐만 아니라 뇌 투과율 및 인체 안전성이 뛰어나 장기간 진행되는 치매 치료약물 임상시험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