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청이 소방관의 치료와 재활 등을 전문으로 하는 ‘소방복합치유센터’ 건립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부지 선정을 두고 지자체 간 경쟁이 치열해 귀추가 주목된다.
소방전문병원 건립의 필요성은 소방관 처우 개선 논의와 함께 꾸준히 제기돼 왔다. 지난해에도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민기 위원(더불어민주당)에 의해 국민안전처장관 소속 소방병원 설치법안이 발의된 바 있다.
논의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말 소방전문병원 설립을 약속하고 소방청이 소방복합치유센터 건립 사업을 발표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소방청은 약 300병상 내외 종합병원급 의료기관 건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화상이나 PTSD, 근골격계질환 등을 전문으로 치료할 계획이다. 소방관뿐만 아니라 민간인도 치료 및 재활 목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내년에 설계작업을 시작하고 2020년 경 착공에 들어갈 전망이다.
부지는 대지면적 3만㎡ 이상, 반경 20㎞ 인구 30만 명 이상 등을 조건으로 한다. 문제는 부지를 어디로 결정하느냐는 것이다. 당초 소방청은 충청권에 센터 유치를 결정했었다. 소방청 측은 “중부권은 전국에서 접근이 용이해 빠른 시간 내 부상 소방관의 이송 및 응급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소방청이 충청남도와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시 등에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들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됐다. 특히 이들 지역은 의료기관의 부족으로 인한 환자 유출을 막기 위해 병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충청북도의 경우 진천군에 위치한 충북혁신도시의 이주율이 낮아 부족한 인프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숙원사업이던 대전의료원 건립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대상 선정에 탈락하면서 소방병원 유치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세종시 또한 도시 규모에 비해 의료기관이 부족해 종합병원급 의료기관 필요성이 수차례 거론된 바 있다. 행정도시 기존 생활권 내에 의료단지가 위치해 부지 선정에도 문제가 없다는 게 시 측의 논리다.
그러나 소방청이 충청권 지자체에만 공문을 보낸 것이 알려지면서 다른 지역들의 반발이 커졌다. 소방관들이 밀집해 있는 수도권이나 타 지자체를 처음부터 배제한 것은 차별이라는 주장이다. 결국 소방청은 이달 중순께 예정됐던 후보지 접수 마감일을 늦추고 대상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한 상황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현재 대전과 세종 등 충청권 지자체뿐만 아니라 경기·전북·전남 등 각지에서 건립 후보지를 등록한 상황이다. 소방병원은 건축은 물론 향후 운영비용까지 정부지원을 받게 되므로 의료시설이 부족한 지역 간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소방청 측은 “센터는 소방관의 치료는 물론 재활과 심신안정 등의 복합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계획하고 있으며 이르면 2021년 개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예상보다 후보지가 늘어나 최종 부지를 선택하는 데에 시간이 좀더 지체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