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립 후 총인구 첫 '감소'…의료계도 '직격탄'
작년 인구 5174만명, 9만여명 줄어…소청과·산부인과 등 경영난 심화 예고
2022.07.30 05:58 댓글쓰기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가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인구가 감소한 것은 1949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72년 만이다. 인구 감소에 직면하면서 소아청소년과나 산부인과 등 의료계도 피해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총 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같은 달보다 9만1000명(0.2%) 감소한 수치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세를 보였다. 1995년부터는 1% 미만으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 인구가 5008만8000명으로 4만5000명(-0.1%) 줄었고,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성 인구가 2585만명, 여성 인구는 2588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인구는 줄고 있으나 고령화 현상은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는 870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41만9000명(5.1%) 늘었다. 고령 인구 비율은 16.8%로 역대 최대치다.


유소년 인구(0~14세)와 생산가능인구(15~64세)도 줄고 있다. 유소년 인구는 608만7000명으로 1년새 16만7000명(2.7%) 감소했다. 생산가능인구도 3694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34만4000명(0.9%) 줄었다. 


환자 급감 소아청소년과·산부인과 이중고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이른바 '인구 데드크로스' 현상이 현실화하면서 의료계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 출산을 담당하는 산부인과의 경우 인구 감소로 수년째 경영난에 직면해 있던 실정이다. 특히 환자 감소로 경영 압박을 견디지 못해 폐원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전공의 기피 현상도 커지고 있다.


실제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0년 7월까지 전공의 중도 포기율은 산부인과는 3.4%로 25개 전문과목 중 여섯 번째로 높았다.

 

저출산으로 불투명한 미래와 지원 기피로 수련 환경이 열악해지면서 그나마 산부인과에 들어온 전공의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80~90년대만 해도 전문의를 획득하고 나가는 산부인과 전공의 수는 한 해 약 250명에 달했지만 현재 그 절반 수준인 120명으로 떨어졌다. 



소아청소년과 역시 인구 감소로 직격탄을 맞고 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정원은 2019년 89.8%에 달했으나 매년 감소해 2022년에는 27.9%(204명 중 57명)에 그쳤다. 특히 전공의 충원이 수월한 빅5 병원 조차도 소아청소년과 미달 사례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연쇄반응으로 전임의 감소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소아청소년 전문진료를 책임질 세부·분과전문의 감소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방도 문제다. 인구가 적은 지방의 경우 필수의료과가 없는 곳이 늘어나면서 서울 등 수도권 지역과 의료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인구 감소로 환자 수도권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지방 병원도 문을 닫고 있는 실정이다. 


인구 감소에 따른 의료체계 붕괴 우려가 커지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