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 현장 통제 미흡해서 혼란 키워"
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장 "재난 대책 우선 순위는 중환자, 가까운 병원 이송했어야"
2022.10.31 05:37 댓글쓰기

지난 10월 29일 밤 일어난 ‘이태원 압사 참사’ 대응 과정에서 현장 통제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환자들이 현장 통제를 벗어나 인근 병원들로 우선순위에 맞지 않게 이송되면서 중환자가 제때 응급처치를 받지 못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한림대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은 30일 대한개원의협의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같은 의견을 밝혔다. 


그는 “중앙·권역응급의료센터의 상황 인지와 출동 시간은 적절했던 것 같다”며 “재난 현장이 서울 한복판이기도 했는데, 서울 전역으로 환자 배분 이송이 가능했던 점도 과거 대비 진일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재난 상황에서는 현장과 가장 가까운 병원 역할이 있고, 그 다음 단계 병원의 역할이 있지만 통제를 벗어난 환자 이송이 역할 분담을 어렵게 했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이형민 회장은 “소생 가능성이 높은 환자가 현장과 가장 가까운 순천향대서울병원에 우선 배정됐어야 하는데, 심정지 환자가 그곳에 우선 이송됐다”며 “중환자 처치에 가장 큰 역할을 했어야 할 병원이었는데 그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과거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인천 100중 추돌사고 당시에도 현장 통제가 되지 않아 혼란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삼풍백화점 사고로 희생된 사망자들이 인근 강남성모병원에 이송돼 병원이 마비됐다. 사망자는 별도로 관리돼야 한다”며 “추돌사고 현장에는 인하대병원 전문의 10명이 투입됐지만 환자들이 임의로 이송돼버린 뒤라 의사들이 할 일이 없었다”고 회상했다. 


"현장 비워 중환자 우선구조 등 재난현장 지휘 콘트롤타워 아쉬움" 


이에 재난 현장에서 보건복지부 또는 의료인이 일부 지휘에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민해봐야 한다는 게 이 회장 시각이다. 


이어 “현장에서의 문제는 누가, 누구한테 무엇을 허락받아야 되는지 모르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다 똑같은 재난은 없다. 정확히 파악하고 지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지난밤 참사에서 재난대응팀이 최선을 다했다고 봤지만 경찰 통제, 언론 보도, 시민 협조 등에 대해서는 향후 변화가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이 회장은 “원래는 일반 시민이 환자를 업고 나오거나 심폐소생술을 하도록 만들어선 안 됐다”며 “상황 극초기에 경찰이 심폐소생술을 하기보다 환자가 빠질 통로를 마련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언론은 참담한 재난현장을 라이브 채널처럼 생중계하는 게 아니라 현장을 빨리 비우라, 현장에 가지 말라고 보도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의식 교육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김윤성 응급의학의사회 학술이사는 “해외에서는 최초 목격자 이후 전문가가 투입돼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일반인은 뒤돌아 이를 못 보게 하도록 교육 받는다”고 설명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