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DUR 기능 강화 방안 모색
"QR 코드 활용 약표지 조제 정보 표시 활용" 제안
2024.12.10 05:43 댓글쓰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Drug Utilization Review) 기능 강화 방안으로 QR코드를 활용한 약표지 조제 정보 표시를 제안했다.


제도화 시 의약품 정보 분실 감소 및 복약정보 수집 등으로 복약순응도 제고는 물론 의약품 감소로 환경오염 예방 및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김태현 심평원 DUR 정보부장은 최근 열린 ‘ICT-디지털혁신포럼’에서 폐의약품 감소를 위한 QR코드 활용 약 조제 정보 서비스를 소개했다.


QR코드로 약 표지에 조제 정보를 표시해 QR코드가 DUR 시스템으로 해당 의약품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즉 DUR의 추가적 기능 확대를 위해 QR코드 인식이 가능한 의약품 정보 수집 및 분석·환류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제약사는 현재 모든 의약품의 용기나 포장에 효능·효과, 저장 방법 등을 표시하고 바코드 또는 전자태그를 표기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 단계에서 낱알 단위로 약품 정보와 생산 정보를 담은 3D 코드를 삽입하고 약 표지와 봉투에 의약품 복약 정보를 QR코드로 안내하면 효율적인 약물 관리가 이뤄질 것이라는 제언이다. 


현재 다제약물 관리와 폐의약품 처리에 대한 필요성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 6월 기준 10개 이상의 약을 60일 넘게 복용하는 다제약물 복용자가 136만명에 달하는 상황이다.  


지난 2018년 83만 5000명이던 다제약물 복용자는 2023년 128만, 올해 6월에는 136만1754명까지 증가했다. 이에 180일 이상의 의약품 장기 처방도 2021년 370만건에서 2022년 425만건으로 약 15% 증가했다.




QR코드 활용→효율적 의약품 관리 정책 기여


QR코드 인식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환류되면 ▲환자별 복용상태, 불용 사유 등 활용한 맞춤형 진료 ▲조제·불용·폐기 등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효율적 의약품 관리 정책 마련이 가능하다.


다만 선결 과제도 존재한다. 의약품별 복용 시기 등 추가적 정보 수집이 필요해 DUR점검 의무화 등 제도 보완이 필수적이다. 또 민감한 의약품 정보의 타인 습득 가능성 우려도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현재 의약품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의약품 이미지 인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한계 봉착한 상황이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관리 방안도 기대를 받았지만,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한 상태다.


의약품 알약 이미지는 크기 및 색상, 모양, 제형 등이 동일하고 식별표시만 다른 경우가 많아 AI 학습을 통한 이미지 인식 역시도 어렵기 때문이다.


김 부장은 "DUR 점검 활성화 및 제도적 의무화 등 제도를 보완할 예정"이라며 "정보 공개 가능 의약품 범위 설정 및 민감정보 인증 처리 절차 마련 등 개인정보 침해 우려도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