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하 의평원)이 지난해 15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에서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이 '불인증' 판정을 받았다.
'인증 유예'인 만큼 금년도 재평가에서 통과하면 인증을 받을 수 있지만 이번에도 통과하지 못하면 원광의대 졸업생들은 의사국시 응시자격을 박탈 당할 수도 있다.
또 같은 기간 실시된 정기평가에서는 서울의대와 가톨릭관동의대 등 2개 대학이 '2년 인증'을 획득하며 급한 불은 껐지만 즉각적인 교육여건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원광대 의대, '교육 질(質) 관리 기능 미흡' 지적
의학교육평가원은 14일 이 같은 내용의 '2024년도 의학교육 평가인증 정기평가 및 중간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우선 의평원은 지난해 지난 2020년도 또는 2022년도 정기평가에서 인증을 받은 15개 의대 및 의전원(강원‧건국‧경상‧고려‧동아‧원광‧을지‧이화‧인제‧인하‧전남‧중앙‧차‧한림)을 대상으로 중간평가를 실시했다.
평가결과 14개 의대 및 의전원에 대해 평가인증 및 인증 유지 당시의 의학교육 현황을 적절히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해 '인증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원광의대는 인증유형 변경이 결정됐다. 인증유형은 인증과 불인증으로 나뉘며, 불인증은 대학이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평가인증에 응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원광의대는 평가인증에 응했으므로 인증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셈이다.
의평원은 "중간평가 대상 의대 및 의전원 대부분은 정기평가를 받았을 당시와 교육과정과 교육여건이 같거나 개선됐으며 평가인증 기준이 충족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교육의 질 관리 기능이 미흡해 대학이 평가인증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필요한 경우도 있었다"며 원광의대의 인증유형 변경 사유를 밝혔다.
다만 원광의대에 대한 불인증 판정은 1년 유예돼 2025년도 정기평가에서 재평가를 진행하기로 했다.
만약 올해 재평가에서도 평가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인증 판정이 확정될 경우 졸업생들이 의사국가시험 응시에 제한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원광의대는 2025학년도 정원이 기존 93명에서 150명으로 대폭 증가할 예정인 가운데, 증원에 앞서 교육 질 관리를 지적받으며 정상적인 교육 진행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서울의대‧가톨릭관동의대 '2년 인증'…교육여건 개선 필요
의평원은 올해 2월 28일 인증기간 만료를 앞둔 가톨릭의대‧가톨릭관동의대‧경희의대‧동국의대‧부산의대‧서울의대‧성균관의대‧한양의대 등 8개 의대를 대상으로 정기평가도 실시했다.
해당 대학들은 지난해 2월 정기평가 신청서를 접수한 뒤 평가인증 기준과 자체평가연구보고서 작성 가이드에 따라 자체평가연구를 시행한 뒤 자체평가연구보고서를 의평원에 제출했다.
이후 의평원은 방문 평가단을 구성해 서면평가와 방문평가를 진행했다. 정기평가 기준은 9개 평가영역에 걸쳐 92개 기본기준과 51개 우수기준으로 구성된 ASK2019를 사용했다.
평가인증 결과는 이 평가 기준을 충족한 정도에 따라 크게 2년 인증, 4년 인증, 6년 인증으로 나뉜다.
2년 인증의 경우 일부 기준을 미충족해 2년 내 개선이 필요한 의대에 부여하며, 4년 인증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지만 대부분 기준을 충족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의대에 부여한다.
6년 인증은 모든 기준을 완벽히 충족해 장기적으로도 안정성을 보장한다는 공인으로 간주된다.
정기평가 결과 가톨릭의대‧경희의대‧동국의대‧부산의대‧성균관의대‧한양의대 등 6개 의대가 4년 인증을, 서울의대‧가톨릭관동의대 등 다른 2개 의대는 2년 인증을 부여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가톨릭관동의대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 기존 49명에서 100명으로 확대될 예정으로, 2년 내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서는 더 큰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의평원은 "대부분 의대는 기본의학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수학습 환경을 최적화하기 위해 노력했다. 학생의 연구 활동을 강화하는 대학도 많았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의대는 대학의 교육 관련 위원회에 학생의 실질적 참여를 보장할 필요가 있었으며, 교수들의 교육 관련 활동을 독려하고 지원하는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대학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교육과정, 학생, 교수, 교육자원, 대학운영과 행정체제 영역은 전반적으로 충족했지만 학생평가와 교육평가 영역은 개선이 필요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