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확산으로 혜택을 볼 직종으로 의사를 비롯해 한의사, 교수, 금융전문가,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이 꼽혔다.
이들 직업은 AI에 많이 노출됐지만 직업의 사회적·물리적 속성으로 인해 대체가 쉽지 않은 직군이다. 반면 회계, 경리 등 사무직은 AI로 대체돼 임금이 줄거나 실직할 것으로 예측됐다.
10일 한국은행은 국제통화기금(IMF)과 공동연구한 BOK 이슈노트 ‘AI와 한국경제’를 통해 국내 일자리 중 절반 이상(51%)이 AI에 높은 ‘노출도’를 가졌다고 밝혔다.
전체 직업 가운데 24%는 AI 노출도가 높지만 동시에 보완도가 높아 AI를 잘 쓰면 생산성이 좋아지고 임금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구체적으로는 의사, 한의사, 대학교수, 금융전문가, 법률전문가 등이 꼽혔는데 이들 직무는 AI에 노출돼도 인간이 수행할 것으로 판단됐다.
반면 27%는 AI 노출도가 높지만 보완도가 낮아서 AI가 업무를 쉽게 대체해 임금이 낮아지거나 실직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다수 회계·경리 사무직, 통신 관련 판매종사자, 컴퓨터 시스템 전문가 등이다.
한국은행은 학력과 소득이 높아질수록 AI 노출도는 물론 보완도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과거 기술 발전이 중위 소득 직업에 집중적으로 영향을 미쳤던 것과 대조적”이라며 “고소득 직업 근로자들은 AI에 단순히 대체되기보다는 AI 기술을 활용해 생산성 향상 혜택을 누릴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