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과대학 중 최대 규모 증원으로 주목을 받은 충북의대 휴학생들의 복학 소식이 전해지면서 다른 대학 의대생들의 행보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의과대학 증원 정책의 변곡점이 될 오는 14일로 예정된 ‘의료인력 수급추계기구 법제화 공청회’가 의대생들 도미노 복학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충북대학교에 따르면 현재 휴학 중인 의예과 학생 80명 중 70명이 올해 1학기 복학을 신청했다. 비율로는 87%에 달한다.
본과생 복학 신청 건수는 휴학 인원 190여명 중 6명으로 저조했다.
예과생은 최대 1년까지 휴학 후 복학하지 않으면 제적 처리되지만 본과생은 최대 3년까지 휴학할 수 있다는 학칙을 염두한 행보로 풀이된다.
충북의대는 지난해 기존 정원 49명에서 300% 이상 증가한 200명의 정원을 배정받으며 의대 증원 정책의 최대 수혜 대학으로 주목을 받았다.
다만 실제 증원은 126명으로 다소 줄었지만 이 역시도 전국 의과대학 중 최대 증원율이었다.
그만큼 학생들의 반발도 컸다. 충북의대 소속 학생 313명 중 301명이 휴학하면서 현재 재학생은 12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번 예과생들이 대거 복학하면서 재학생 수는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복학생과 올해 신입생 126명을 합치면 오는 3월 의예과 1학년 재학생은 170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학 측은 100명 이상 수용이 가능한 경영대·농경대 대강의실을 빌려 이들의 기초 교양과목 수업을 진행할 계획이지만 교육의 질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실제 대학 의대 증원에 맞춰 오는 3월 새 학기에 의대교수 35명을 충원해 투입할 계획이었지만 실제 임용은 27명에 그쳤다.
한편 충북의대 예과생들의 복학 신청서 제출이 다른 대학에도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전문가들은 충북의대 처럼 ‘제적’ 처리에 부담을 느낀 예과생들을 중심으로 도미노 복학이 이뤄질 수 있다면서도 본과생들의 경우 의정 상황에 따라 복귀율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오는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주최로 열리는 ‘의료인력 수급추계기구 법제화를 위한 공청회’가 본과생들 복학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공청회가 적정 의대정원 추계 방법을 논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이면서 교육 직접 당사자인 의대생들의 관심 또한 높은 상황이다.
많은 쟁점 속에서도 직면과제인 2026학년도 의대정원 근거에 집중되는 양상이다.
의대생들은 공청회에서 2026학년도 의대정원 '감원'에 대한 법적 근거를 담는 내용이 논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육 질 저하가 우려되는 만큼 감원은 최소한의 대책이라는 주장이다.
한 의과대학 교수는 “이번 공청회에서 2026학년도 의대정원 감원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의 논의가 이뤄져야 의대생들이 복학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