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심근경색 발생 규모·추이 파악 가능
서울대병원 김태정 교수팀, 질환 발생 식별 알고리즘 개발
2024.03.26 15:16 댓글쓰기

치명적인 심뇌혈관질환 발생 규모와 추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방법이 제시됐다. 국내 연구진이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뇌졸중 및 심근경색 발생 식별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알고리즘 분석 결과는 향후 국가적 차원의 심뇌혈관질환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중환자의학과 김태정 교수팀은 급성 뇌졸중 및 심근경색 환자를 식별해서 발생 규모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국내 발생 추정치를 분석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뇌혈관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으로 꼽히는 치명적 질환이다. 


그러나 적절한 예방·관리를 실시하고 적시에 치료받으면 생존율을 향상할 수 있어 전국 어디서나 신속한 진단-이송-치료가 가능한 의료체계를 수립하는 게 중요하다.


하지만 이 같은 대책 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확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제질병분류(ICD) 코드에 기반한 기존 질병 식별 체계는 급성기와 만성기 구분이 모호하고, 특히 뇌졸중은 코드만으로 구분이 불가능해 환자 규모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질병 진단부터 치료까지 전 임상과정에서 발생한 ‘보험청구 자료’를 활용해 뇌졸중 및 심근경색의 발생을 보다 정확히 식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해당 알고리즘은 ▲초급성기 치료 ▲CT·MRI·TFCA·CAG 검사 실시 여부 ▲입원 일수 ▲병원 내 사망 여부 등에 따라 분석해 실제 질병 발생 여부를 후향적으로 식별하도록 설계됐다. 


예를 들어 뇌졸중 관련 ICD 코드가 있으나 초급성기 치료를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알고리즘은 급성 뇌졸중 ‘음성’으로 분류해 발생 건수 집계에서 제외시킨다.


연구팀은 전국 6개 지역 18개 의료기관에서 수집한 의료기록 2200건을 대상으로 질병 발생을 직접 조사한 결과와 알고리즘으로 식별한 결과를 비교해 정확도를 평가했다.


그 결과 급성 뇌졸중 알고리즘 민감도는 94%, 특이도는 88%였고, 급성 심근경색 알고리즘의 민감도는 98%, 특이도는 90%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 알고리즘으로 추정한 2018년 연간 발생 건수(재발 포함)는 급성 뇌졸중 15만837건, 급성 심근경색 4만519건으로, 급성 뇌졸중이 약 4배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2019년 이전 연구들에서 보고된 발생 건수 보다 많았다. 연구팀은 그 원인을 고령화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심뇌혈관질환 발생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코로나19로 연구기간이 단축되고, 병원 출입이 제한되며 충분한 의료기록을 확보하기 어려웠던 만큼 더 큰 표본과 넓은 범위 병원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정 교수는 “전국적인 뇌졸중 및 심근경색 발생 통계를 추정할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제도적 차원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있어 중요한 일 보 전진”이라고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심뇌혈관관리중앙지원단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최근 질병관리청이 발간하는 공중보건 분야 국제학술지 ‘오송 PHRP’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