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약 비즈니스 모델 부재, 맞춤 지원책 시급"
정책·제도화 촉진 위한 국회토론회 개최, 전문가들 이구동성 지적
2023.01.12 05:28 댓글쓰기

"디지털 치료제는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 보니 산업적 발전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산업 생태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합니다."


국내 1호 디지털 치료제(DTx) 탄생을 앞두고 업계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분명한 비즈니스 모델이 부재하다는 전문가들의 아쉬운 평가가 쏟아졌다.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해 디지털 치료제를 위한 별도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1일 한국인터넷기업협회,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 이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내 디지털 치료제 산업 발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첫 번째 발표에 나선 박명철 경운대학교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 비즈니스 모델이 부재한 점을 짚으면서 건강보험 적용 구조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박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는 기존 등재 대상에 비해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기에 현 제도 내 신의료기술평가를 위해서 소요되는 기간은 산업 경쟁력 저하를 초래한다"면서 "혁신의료기술로 인정되는 디지털 치료제를 건강보험 예비 등재 대상으로 정해 선별급여를 시행해야한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등재 프레임은 디지털 치료제 특성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식약처 인허가 이후 원스톱으로 간소화된 등재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치료제 특성에 맞는 새로운 등재 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특히 "디지털 치료제는 비즈니스 모델이 없다 보니 산업적 발전도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디지털 치료제 생태계가 확립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부처 사업을 지원체계를 일원화하는 등 범정부 차원에서 통합 컨트롤타워를 만들어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덕현 중앙대학교병원 교수도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이 부재한 점에 아쉬움을 피력했다.


한 교수는 "디지털 치료제가 의학적인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게 되면 답이 없다 보니 대다수 기업이 과학적인 검증은 어느정도 됐다는 식으로 두루뭉술하게 사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환자 기전에 따라 처방을 하는 단순한 구조에서 결국 비의학적 필드로 나가게 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박 교수는  "한국 의료보험 제도는 디지털 치료제 영역에서도 다른 국가에서 따라올 수 없는 중요한 이점이 될 수 있다"면서 "국내 의료 형태를 고려한 허가 및 관리 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인식 제고도 필요하다. 생각의 전환으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성지 웰트 대표도 "진화하는 치료제를 관리하기 위한 규제, 수가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좋은 제품에 대해서는 탄력적으로 보상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자리에서는 산업적 가치보다 국민 건강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가 우선돼야 한다는 조언도 이어졌다.


박 교수는 "규제 완화가 절대적인 키(Key)는 아니다. 디지털 치료제 역시 인간 생명과 밀접한 관게가 있기에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가치를 우선으로 둬야 한다"면서 "그래야만 규제 기관에서도 제도적인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