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중증·응급치료' 전환
복지부, 공청회서 2차 종합계획 공개…3년 주기 권역센터 평가·지정
2023.07.05 12:30 댓글쓰기



심뇌혈관질환관리 정책이 예방·관리에서 중증·응급치료 중심으로 전환된다.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응급 핫라인과 이송 지원 등을 제공하고, 권역센터는 3년 주기로 평가 및 재지정하게 된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일 오전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은 2017년 ‘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2번째 종합계획이다. 법률 제정 이전 2차례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이 수립된 바 있다.


1차 종합계획(2018~2022)과 비교해 2차 종합계획(안)은 지난 1월 발표한 필수의료 지원 대책 이행 차원에서 골든타임이 있는 급성기 치료 대응에 중점을 뒀다.


이번 공청회에서 공개된 2차 종합계획에선 ▲신속한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경로 확보 ▲진료자원 기반(인프라) 최적 연계 ▲환자 중심 선행질환관리 체계 구축 등을 목표로 뒀다.


이를 위한 5개 영역은 ▲환자 중심의 의료 이용체계 확보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 치료 대응체계 확보 ▲지역사회 예방·관리체계 강화 ▲과학적 정책 기반 확립 ▲수평적 협력 거버넌스 구축이다.


우선 심근경색 120분, 뇌졸중 180분 등 골든타임을 사수하기 위해 증상 발생 즉시 환자와 가족이 인지·대응하도록 중증·응급요령 교육 등을 강화해 대처법을 확산시킨다.


또 심뇌혈관질환 의료이용 지도와 함께 권역·지역센터 등록 환자를 위한 응급 핫라인과 이송 지원 등을 제공한다.


심뇌혈관질환 치료 병원과 전문의 인증제를 활성화하고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기준으로 활용해 치료의 질을 높인다.


기존 심뇌혈관질환 정책·의료체계가 예방관리 중심이고 외과계 전문 치료 역량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반영해 중증·응급 중심 치료대응체계를 확보한다.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의 내·외과 포괄 전문치료 역량을 강화해서 전 주기 통합 거점기관으로 전환하게 된다. 권역 센터는 3년 주기로 평가·재지정하고, 골든타임 내 의료이용 수요를 반영한 권역센터를 순차적으로 확대한다.


의료 인력은 치료 역량이 있는 전문치료팀으로 조직화해서 치료 결정을 신속히 하고, 내·외부 소통과 신속한 의사결정을 돕도록 특화 플랫폼을 제공하기로 했다.


필수의료지원대책,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응급의료기본계획 등 다른 유관 계획들과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 간 연계도 강화한다.


사전예방 면에서는 국가검진 강화 등을 통해 주요 선행질환 환자에 대해 포괄적으로 관리하고 뇌졸중 이후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활 서비스를 확대한다.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심뇌혈관질환의 골든타임을 사수할 수 있는 최적의 인력 활용 방안, 치료 접근성, 편의성을 높이는 이용체계 개선 방안 등을 고민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심뇌혈관질환의 전주기에 대응하는 주요 과제들에 대해 충분한 의견 수렴과 보완을 거쳐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겠다”고 약속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