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환자 급증세, 환자·가족 보듬는 분위기 필요'
구본대 교수(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신경과)
2022.04.20 09:54 댓글쓰기
[특별기고] 우리나라는 다른 어느 국가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다. 이로 인해 나이가 들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질환의 위험도 높다. 
 
가장 대표적인 질환이 ‘치매’다. 실제 국내 치매환자 수는 가파르게 증가 중이며, 일상에서 치매환자를 마주하게 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치매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환자는 2024년에는 100만명, 2039년에는 200만명, 2050년에는 3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2050년에는 대한민국 가구 다섯 중 하나는 치매환자 가족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치매는 이제 의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도 해결하지 않을 수 없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다. 
 
이 같은 치매환자 급증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사회적 지지’와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이다. 
 
‘사회적 지지’는 국가가 치매 환자를 돌볼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인데, 사회적 지지는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스트레스와 건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어 치매 사회를 대비하는 데 필수적 요소다.
 
우리나라 보다 고령사회를 먼저 맞이한 일본, 영국 등에서는 치매 환자 및 가족 대상. 사회적 지지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영국에서는 치매 예방 인식 강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치매예방 공공캠페인(Dementia UK's Campaigns Network)을 실시한다. 
 
동시에 치매 조기진단 강화를 위해 1차 의료와의 연계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전문가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 진단, 치료 및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일본은 치매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인지 활동 체조교실 등 지역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추진 중이다. 
 
접근성 향상을 위해 치매 의료센터와 지역포괄지원센터 추가 확대 및 개소 방안을 추진, 조기진단 및 대응을 위해 전문가의 치매 대응력 향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고령화로 치매환자 급증, 사회적 지지‧인식 개선 시급”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됐다. 중앙치매센터를 중심으로 지역 치매안심센터 및 치매 돌봄터에서 치매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포괄적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 역시 치매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 중요한 요소다. 치매는 한번 걸리면 고칠 수 없다는 인식이 강한데 이는 치매 원인 질환의 다수를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에 기반한 인식이다. 
 
하지만 정상압수두증에 의한 치매의 경우 치료가 가능한 대표적인 치매다. 두번째로 흔한 치매인 혈관성 치매의 경우 뇌졸중의 재발을 예방한다면 치매증상 진행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의 경우도 아세틸콜린억제제(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및 메만틴 등의 약물을 적절히 투여하면 일상생활 수행 능력 유지, 이상행동 증상 및 인지 기능 개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약물적 치료 외에도 다양한 인지훈련 및 운동을 통한 비약물 치료를 통해 치매 증상의 출현이나 악화를 현저히 지연시킬 수 있어 치매는 불치병이라고 생각하는 사회의 부정적 인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현 추세로 봤을 때 치매는 이제 다른 사람의 얘기가 아닌 ‘나와 내 가족의 얘기’가 될 수 있다. 지나친 우려와 편견을 버리고 ‘치매’라는 질환을 명확히 이해하고 환자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치매환자와 가족을 위한 사회적 지지 기반 마련,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할 때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