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국(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의 플로렌트 진후스 박사는 알레르기 반응을 촉발하는 핵심 항체인 이뮤노글로불린E(IgE)가 모체로부터 태반을 건너 태아에게로 들어간다는 사실을 쥐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지난 10월31일 보도했다.
모체의 이 항체가 태아에게로 들어가면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을 방출하는 태아의 면역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와 결합한다고 플로렌트 박사는 밝혔다.
어미 쥐의 알레르기 유발 항체가 들어간 새끼 쥐는 어미 쥐와 마찬가지로 같은 알레르기 항원 첫 노출 때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낸다고 그는 설명했다.
이 새끼 쥐는 생후 4주 때 어미 쥐와 같은 항원에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켰다. 그러나 6주 후에는 알레르기 반응이 약하거나 나타나지 않았다.
인간도 모체의 IgE 항체가 인간 태아의 비만세포와 결합하는 것으로 시험관 실험에서 밝혀졌다.
이는 사람도 모체의 항체가 쥐와 똑 같은 방법으로 태반을 건너 태아에게 들어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플로렌트 박사는 설명했다.
그는 태아의 비만 세포는 임신 과정에서 표현형으로(phenotypically)으로 성숙해 태반을 넘어 들어온 모체의 IgE 항체가 태아의 비만 세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알레르기가 심한 임신 여성은 자신의 IgE 항체를 아기에 전달해 아기가 어머니에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에 처음 노출되면 똑 같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