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총회서 다국적제약사 약값 비판 한국 장관
박능후 '무리한 가격협상 대처 등 공동 해결방안 모색' 제안
2018.06.05 07:54 댓글쓰기

국내 진출한 일부 제약사들이 자사의 독점약 가격을 무리하게 인상하려 하거나 관련 단체가 부정확한 데이터로 ‘정부 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 간 공동대응 필요성이 제기되는 등 정부가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는 모습이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HO(세계보건기구) 총회에서 다국적 제약사의 무리한 가격협상 요구를 비판했다.


WHO 총회 기간에 각국 보건당국 수장이 ‘보편적 의료보장을 향한 약속’을 주제로 참석한 회의에서 박 장관은 "일부 다국적 기업이 국민 생명을 담보로 무리한 가격 협상을 요구하는 행위에 대해 WHO가 공동 해결안을 마련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WHO에서 일부 유럽 국가 보건당국 수장이 다국적 제약사 독점약에 대한 높은 약값 문제에 공동대응을 제안한 적은 있지만, 한국 장관이 다국적 제약사의 높은 약값을 국제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문제를 삼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국내에서 무리한 약값 인상 요구로 일부 다국적 제약사가 논란을 빚자 복지부의 신약 급여협상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이 커진 탓으로 보인다.


지난 5월 간경동맥화학색전술 조영제로 쓰는 '리피오돌'을 생산하는 게르베코리아는 6년 전(前) 첫 계약 당시 약값보다 5배 비싼 가격으로 재계약을 정부에 요구해 논란을 빚었다.


최근 희소난치성 질환인 '척수성 근육위축증(SMA)' 증상개선 약으로 허가를 받고 급여협상에 들어갈 A치료제 역시 1년 투약비용이 한 해 8억 원에 달해 급여협상을 앞두고 우려가 있었다.


박 장관을 비롯한 복지부 수뇌부는 최근 일련의 초고가 약 관련 논란을 겪으면서 다국적 제약사 신약의 약값협상 과정과 문제 의식 등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KRPIA 강공에 보건복지부 불쾌감 피력


다국적 제약사들의 모임인 'KRPIA(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의 정부 때리기도 복지부측 반감을 사고 있다.


KRPIA는 한국에서 책정 받은 다국적제약사의 글로벌 신약 가격이 OECD 평균 45%(2013년 8월 검색 기준)로 낮고 한국의 항암제 급여 평균 등재기간이 식약처 허가 후 평균 789일에 달할 정도로 길다며 불만을 피력하고 있다.


복지부는 KRPIA의 이런 행태를 "잘못된 사실을 호도하거나 무리한 주장"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먼저 OECD 평균 약값 통계는 "다양한 각국의 약가제로 실제 약값을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자의적으로 보정한 약값을 마치 신뢰할만한 데이터인 양 호도하고 있다"고 문제 삼는다. 유럽을 비롯해 한국도 실제 약값이 표시가격의 30∼40% 불과한 약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급여등재 기간 역시 '제약사가 급여신청을 한 이후'부터 등재 기간을 산정하지 않고 KRPIA는 제약사의 급여 신청 여부와 상관없이 등재 기간을 산출해 등재 기간이 길어진 책임을 정부 탓으로 돌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해당 데이터가 문제가 있다고 밝혔지만 KRPIA가 아랑곳하지 않고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자 KRPIA와 다국적제약사에 대해 복지부가 대책 마련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다양한 대책을 논의 중이며 우선 객관적인 관련 자료를 만들어 대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