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적령기 남녀 '육아·경제 부담보다 기형·장애 걱정'
서울시, 4개 자치구 건강출산지원사업 경과 공개···“사업 전폭 지원”
2019.01.10 12:47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고재우 기자] 결혼 적령기 남녀가 출산을 꺼리는 이유로 육아·경제 등에 대한 부담이 거론되고 있고 정부정책도 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실제로는 기형·장애 등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중구·광진구·성북구·양천구 등 서울시 네 개 자치구 일부 구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결과이기 때문에 표본수는 적지만 서울시는 기형·장애아 등 출산을 막고 건강한 아이의 탄생을 장려하기 위한 ‘출산지원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시와 한국모자보건학회(모자보건학회) 한정열 회장[사진]은 9일 서울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2018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지원사업’ 경과를 공개했다.
 
건강출산지원사업이란 서울시와 모자보건학회가 ‘남녀임신준비프로그램’을 마련해 가임기 남녀에게 건강한 임신에 장애가 되는 위험요인들을 제거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비계획 임신 ▲선천성 기형 ▲저체중아와 조산 ▲건강행동 촉진과 위험행동 등을 예방할 수 있다.
 
경과에 따르면 기존에 가임기 남녀의 저출산 주요 원인으로 꼽혔던 육아·경제 등보다 기형 또는 장애 등 출산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

임신 준비 시 여성이 가장 우려하는 점으로 응답자 1582명 중 기형 또는 장애에 대한 두려움을 278명(17.6%)이 꼽았고, 남성 응답자 922명 중 136명도 기형 또는 장애에 대한 우려를 호소했다.
 
또 부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우려도 여성 응답자 중 250명(15.8%), 남성 응답자 중 118명(12.8%) 등으로, 기형 또는 장애 및 부부 건강과 질병에 대한 우려가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반면 육아 및 경제에 대한 걱정은 여성이 각각 10명과 5명이었고, 남성도 4명·6명에 그쳤다.

여기에는 서울시 평균 출산연령 상승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된다. 지난 5년간 서울시 평균 출산연령은 2011년 32.1세, 2012년 32.3세, 2013년 32.5세, 2014년 32.7세 등으로 꾸준히 높아졌다. 고령출산으로 인한 부담이 늘어난 셈이다.
 
물론 표본수가 적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육아·경제 등에 지나치게 집중된 ‘저출산 정책’을 다양화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또 실제로 가임기 남녀가 ‘건강한 임신’에 대한 ‘무지(無智)’로 기형아를 출산하는 경우가 왕왕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여드름 치료를 위해 2년 간 복용한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해 귀가 일그러진 아이를 출산한 경우나 임신을 인지하지 못해 했던 잦은 음주로 정신지체·안면이상·성장장애 등을 가진 아이를 낳은 사례도 있었다.
 
한 회장은 “이소트레티노인은 중추신경계·뇌·안면 등 기형을 유발 35%, 지능저하 50% 가능성이 있고, 알코올 섭취도 ADHD 유발이나 정신지체 등을 불러올 수 있다”며 “임신을 준비하는 가임기 남녀는 서울시 건강출산지원사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엽산이나 종합비타민 등을 제때 섭취하지 않아 유전자인 텔로미어(Telomere)가 짧아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질환으로 인한 조기사망·심혈관질환·당뇨병 등 가능성이 높아진다”며 “뱃속 8개월이 평생의 건강을 좌우한다는 말이 있는 만큼 임신 준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10~12개 자치구로 사업 확대… 전폭 지원”
 
지난해 중구·광진구·성북구·양천구 등 서울시 네 개 자치구에 한해 시범적으로 운영됐던 서울시 남녀 건강출산지원사업이 점차 확대된다. 시범사업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확인했고, 사업만족도에서도 100%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에 서울시는 올해 사업을 10~12개 자치구로 확대하고, 설문입력 및 위험요인 매뉴얼과 연계를 위한 웹 개발, 표준 사업지침 개발, 사업 홍보강화 등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시범사업 도중 있었던 개인정보보호 문제, 담당인력의 정규직화, 직장인 이용시간 등 문제도 적극적으로 풀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경과보고에 참석한 서울시 시민건강국 나백주 국장은 “올해 최대 12개 자치구로 확대하고, 최종적으로는 전 자치구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남녀 건강출산지원사업에 대해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