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진이 신장이식 거부반응이 발생할 경우의 위험인자에 대해 규명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공동 교신저자),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공동 교신저자), 부천성모병원 신장내과 민지원 교수(공동 제1저자),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혜영 교수(공동 제1저자)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신장이식은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식 이후 공여된 신장에 대한 수혜자의 면역반응으로서 ‘공여자 특이 항체’ 가 발생하고, 이는 ‘만성 이식신 거부반응’을 유발해 이식 신장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식 후 발생하는 공여자 특이 항체 발생 기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HLA 형별검사(공여자와 수혜자의 HLA 유전자 검사)를 이용해 347명의 신장이식 환자와 공여자 간 HLA 유전자의 에플렛(eplet) 불일치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불일치 정도가 심한 환자일수록 공여자 특이항체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에플렛(Eplet)은 항체가 인식하고 결합할 수 있는 항원의 특정한 부위인 항원결정기(epitope)의 핵심 서열을 의미한다.
또한, 연구진은 에플렛 불일치 정도와 환자 타크롤리무스 혈중 약물 농도 변화가 공여자 특이 항체 발생에 미치는 복합 효과를 추가 분석했다.
신장이식 이후에는 거부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지속적인 면역억제제 복용이 필수적인데, 타크롤리무스는 면역억제제 가운데 제일 중요하다.
그 결과 HLA 유전자의 에플렛 불일치가 높고 타크롤리무스 혈중 농도가 적정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공여자 특이항체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책임연구자인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는 “분자진단법 발전으로 이식 거부반응과 연관된 유전자 및 공여자 특이항체 관련 연구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거부반응 위험도를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 7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