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4차 병원’ 자리매김, 임상·연구·교육 등 국제 표준화'
최종일 교수(고대안암병원 순환기내과)
2021.08.04 05:29 댓글쓰기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은 평생 안고 살아야 하는 질병이었다. 적어도 1998년 전까지는 그랬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은 1998년 국내 최초로 심방세동 전극도자절제술에 성공했다. 기념비적인 일이었지만 정작 의학계의 반응은 냉담했다. 서울대병원이나 세브란스병원 등 굴지의 병원이 아닌 곳에서 일궈낸 업적이었기에 평가절하됐다. 그럼에도 고대안암병원은 뚝심 있게 부정맥 시술을 이어갔고, 최근 ‘5000례 돌파’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국내 부정맥 치료 새역사를 쓴 김영훈 교수(고려대학교 의무부총장)의 애제자로, 지금은 고대안암병원 부정맥센터의 대들보 역할을 하고 있는 순환기내과 최종일 교수를 만나 부정맥 치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에 대해 물었다.
‘국내 최초’가 이제 ‘세계 최고’
 
고대안암병원이 전극도자절제술을 도입하기 전까지 국내에서는 약물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악화를 방지하는 치료가 주를 이뤘다.
 
전극도자절제술은 카테터를 사용해 부정맥을 일으키는 심장 부위에 에너지를 가해 비정상 조직을 파괴함으로써 부정맥을 완치하거나 조절하는 치료법이다.
 
말 그대로 ‘시술’을 통해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이었다. 초반 곱지않은 시선에 맘 고생도 많았지만 20년이 흐른 지금은 가장 대중적인 치료법으로 자리매김 했다.
 
실제 1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국내 전극도자절제술 75% 이상이 고대안암병원에서 이뤄졌다. 하지만 2021년 현재 그 비율은 10~15%로 낮아졌다. 그만큼 시술하는 병원이 늘었다는 얘기다. 
 
환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번지면서 유명세를 탔고, 3D 기술 진화, 고주파 전극 고도화 등 기술 발전이 이뤄지면서 의학계에도 패러다임 변화가 일었다.
 
이 기간 동안 전극도자절제술도 진화했다. 5시간 이상 걸리던 시술시간이 3시간으로 줄었고, 완치율도 90% 이상으로 높아졌다. 물론 이러한 술기 발전은 고대안암병원이 주도했다
 
고대안암병원 부정맥 치료 술기는 이제 국내를 넘어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국제 학회에 150편 넘는 논문을 발표하며 세계적 명성을 쌓았고, 매년 수 십명의 해외 의료진이 술기를 전수 받기 위해 한국을 찾을 정도로 ‘부정맥 치료의 성지’가 됐다.
 
뿐만 아니라 부정맥 관련 국제학회에서는 기조강연 ‘0순위’ 섭외 대상이다. 전세계 부정맥 분야 의사들을 대상으로 한 라이브 서저리(Live Surgery)도 부지기수다.
 
‘국내 최초’가 이제는 ‘세계 최고’가 된 셈이다.
 
최종일 교수는 “한국의 치료법이 국제 표준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때문에 더 큰 책임감과 부담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20년 세월 구축된 탄탄한 시스템
 
고대안암병원은 연간 500~600건 정도의 전극도자절제술을 시행한다. 전체 국내 시술건수로는 15% 남짓 되는 수준이지만 그 환자 군에 주목해야 한다.
 
최종일 교수의 환자 3명 중 1명은 타병원 의사가 보낸 환자다. 시술 후 재발했거나 통상적 접근이 어려운 고난도 환자들이 대부분이다.
 
고대안암병원이 ‘부정맥 4차 병원’이라고 불리는 이유다. 의료진 역시 그러한 환자군 조성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 자신감의 기저에는 20여년 동안 구축된 시스템이 자리한다. 고대안암병원은 1998년 이후 5000례 이상의 시술을 시행하면서 부정맥 치료와 관련한 탄탄한 시스템을 갖췄다.
 
세계적 명의로 널리 알려진 김영훈, 최종일, 심재민, 김윤기 교수 등 최강 의료진은 물론 외래, 수술 간호사, 코디네이터 등이 유기적 호흡을 자랑한다.
 
진단, 치료, 관리를 아우르는 최상의 심방세동 진료 시스템은 자타가 공인하는 최대 성과다.
 
5000례 이상의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생명과 직결된 심장을 다루는 시술임에도 사망자가 단 한명도 없을 정도로 정밀하고 안전한 시술을 펼치고 있다.
 
특히 공고한 시스템은 3차원 영상을 통한 최소절제, 심내막‧심외막 혼합법, 알코올주입법 등 지속적인 신 치료법 개발을 가능케 했다.
 
다른 병원 의사들이 고난도 시술이 필요한 환자를 서슴 없이 고대안암병원으로 보내는 이유 역시 20년 세월 구축된 시스템을 높이 평가하기 때문이다.
 
물론 병원 입장에서는 술기가 수월하고 완치율도 높은 조기환자 시술을 선호하는 게 당연지사지만 고대안암병원은 궂은 행보를 기꺼이 자청한다.
 
최종일 교수는 “수익적 부분만 중시했다면 고난도 시술 환자군 치료가 불가능했겠지만 병원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지금의 위상과 그에 걸맞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웨어러블 진단장비 등 기술 발전 순응
 
세계 부정맥 치료를 선도하는 기관답게 고대안암병원은 관련 기술 발전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심전도 검사다. 심장 기능 측정은 부정맥의 가장 중요한 요소다.
 
현재 부정맥 진단을 위해서는 신체에 직접 전극을 붙이고 24시간 동안 일상생활 심전도를 기록하는 홀터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홀터검사는 24~48시간 동안 몸에 검사기기를 붙인 채 생활해야 한다. 이후 다시 내원해서 장비를 제거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전남 신안군 섬에 사는 환자가 홀터검사를 받기 위해 배를 타고 육지로 나와 KTX로 갈아타고 서울에 도착, 하룻밤을 묵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자들의 수고를 덜어주기 위해 고안해 낸 게 ‘손목시계형 심전도 측정기’다. 평소 웨어러블 의료기기 필요성을 절감했던 최종일 교수가 관련 임상연구를 주도했다.
 
정보통신기술 분야 규제샌드박스 1호로 선정된 ‘손목시계형 심전도 측정기’는 지난해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을 받았고, 웨어러블 기기 중 처음으로 건강보험 적용을 받았다. 
 
최종일 교수는 “웨어러블 진단장비 활용은 부정맥 중에서도 심방세동에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숨겨진 심방세동 진단율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웨어러블 진단장비는 물론 유전체 분석을 활용한 맞춤치료 역시 최종일 교수가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연간 2만 건에 달하는 심정지의 10~40%가 유전성 질환에 의한 부정맥에 해당하는 만큼 유전성 부정맥 치료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대안암병원 역시 최종일 교수를 주축으로 국내 최초로 유전성 심장질환 클리닉을 운영 중이다. 부정맥 위험 유전자를 미리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로 이어지는 토탈케어를 시행한다.
 
특히 정밀의학 구현으로 개인의 상황에 맞춘 질병의 예측과 선제적인 대비, 지속적인 관리와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
 
최종일 교수는 “유전자 활용을 통한 의료는 정밀도와 개인 맞춤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정밀의학이 유전성 부정맥의 핵심 치료법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