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병원장 이구동성 '공공의대 설립 반대'
충남·충북·전북대 이어 서울대병원 김연수 원장도 소신 피력
2020.10.22 12:17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국립대학교병원 원장들이 정부의 공공의대 설립 추진에 잇따라 회의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나서 관심을 모은다.
 
공공의료인력 확충 일환으로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려는 정책을 국가병원을 이끌고 있는 수장들이 반대하면서 공공의대 설립 당위성 논란이 가열될 전망이다.
 
서울대학교병원 김연수 병원장은 22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대 필요성을 묻는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 질의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연수 병원장은 공공의료 분야에 역량 있는 의사를 양성, 투입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 필요하지만 그 방법론에 대해서는 이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공의대 설립을 통한 방식과 기존 의과대학 활용 방안을 놓고 보면 후자가 훨씬 타당한 방안이라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폈다.
 
공공의대 설립을 둘러싼 논쟁을 차치하더라도 이미 교육 인프라와 질이 확보된 국립의대 플랫폼을 활용해 공공의료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른 국립대병원 원장들도 공공의대 설립을 반대했다.
 
충남대병원 윤환중 병원장은 지난 19일 국감에서 예산과 시간이 많이 투입되는 공공의대 신설보다 이미 검증된 교육 인프라가 있는 국립대병원에 역할을 맡기는 게 효율적이라고 답했다.
 
이어 역학조사관 같은 공무직 의사 양성을 위해 공공의대를 설립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임상의사 양성을 염두한다면 국립대병원에서 수련받도록 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덧붙였다.
 
충북대병원 한헌석 병원장도 같은 날 공공의대 설립에 반대한다입학부터 문제가 많고, 의학교육 부실화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 거점 국립의대 정원을 확대하고 거점 대학병원에서 교육하는 게 좋다역학조사관 등 공무직 의사가 필요하다면 각 대학의 예방의학을 통해 양성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전북대학교병원 조남천 병원장은 지난 2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공공의대에 대한 입장을 묻는 국민의힘 배준영 의원의 질의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그는 공공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인프라가 확실히 갖춰진 국립대병원 등 지역거점 의료기관이 더 효율적이고 전북대병원은 이를 수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발언은 지역사회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동안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해 온 전북도와 남원시, 정치권 등은 조 원장의 발언에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지역의 공공병원 수장이 대승적이지 못한 집단 이기주의적 발언으로 지역 현안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수위 높은 비난이 이어졌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