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 간호사 구인 몸부림···맞춤채용 확산
중소병원, 유휴간호사 활용·유연근무제 등 도입···“정책 보완 필요”
2016.12.15 06:40 댓글쓰기

“100% 맞춤채용을 실시했다. 원하는 시간에 근무할 수 있도록 공고를 냈고, 유휴간호사의 개인사정을 전적으로 고려했다.”
 

“다양한 근무 형태가 무조건적인 인력 안정을 가져다 주지는 않는다. 임금과 근로환경 개선이 동반돼야 효과가 크다.”
 

만성적인 인력난으로 벼랑에 몰린 중소병원들이 자구책 찾기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유휴간호사 활용을 위해 조직문화를 개편하고 선택근무제를 도입해 인력충원에 힘쓰는 모습이다.

다만 현장의 어려움을 고려한 정책 보완을 건의하는 목소리가 뒤따랐다.
 

대한중소병원협회는 지난 14일 ‘간호인력 취업활성화를 위한 중소병원 경영자 간담회’를 개최해 그간 간호인력 취업사업의 성과를 살펴보고, 유휴간호사 인력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병원들의 사례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유연근무제 추진을 통해 간호등급을 5등급에서 3등급으로 끌어올린 구로성심병원 및 병상 절반을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청구성심병원, 유휴간호사를 위해 대대적 조직문화 개편을 시행한 서울성심병원 등의 사례가 소개됐다.
 

구로성심병원 간호부장은 “작년 말부터 인력이 급속히 빠져나가 올해 초 간호등급이 5등급까지 떨어졌다. 중소병원을 기피하는 현상 탓이었다”며 “유연근무제 프로젝트를 통해 틈새인력 찾기에 나선 결과 3등급으로 회복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구로성심병원은 두 종류의 주간전담제와 단시간근무제(주 20시간 미만), 오후·야간전담제 등 근무형태를 6종류로 세분화하고 이에 따른 간호인력을 각각 달리 채용했다.
 

그 결과 각 근무형태의 장단점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간호사들도 원하는 근무형태 선택이 수월해졌다. 기존 간호사의 야간수당을 없애지 않은 채 야간근무를 원하는 간호사를 별도로 모집했다. 이런 노력이 인력 유출을 상당 부분 막을 수 있었다.
 

병원 측은 “각 병원마다 요구되는 근무형태를 직접 짜서 운영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며 “간호사의 업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임금 및 근로조건도 동반돼야 한다. 이를 위한 중소병원 지원 정책도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청구성심병원의 경우 200병상 중 99병상이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1:8 이하의 간호인력을 운영 중인데, 이 가운데 65%가 3년 이상의 경력자다.
 

청구성심병원 간호부장은 “병원 위치 특성상 취약계층과 저소득층이 많아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수요가 충분할 것으로 판단했다”며 “유휴간호사 선발 시 원하는 시간에 근무할 수 있도록 했고, 단시간 근무하는 간호사도 정규직으로 채용했다”고 밝혔다.
 

이어 “원하는 병동과 근무형태를 배려하는 노력이 직무만족도를 높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했고, 덕분에 이직률도 낮다”며 “시간선택제 등의 형태로 간호사를 고용할 수 있게 중소병원 수가를 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성심병원 간호부장도 “유휴간호사는 복귀의 두려움과 선후배 간의 갈등, 변화된 업무환경 적응 등으로 스트레스가 크다”며 “실무교육을 적극 강화하고 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을 찾을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드는 노력이 수반돼야 유휴간호사 정착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아직 간호인력 취업사업만으로는 인력난 해소가 어렵다는 지적은 여전했다.
 

서울 소재 A병원장은 “본래 2등급을 유지하며 400병상 넘게 운영해 왔는데 지금은 3등급 유지도 힙겹다. 이 와중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나 인증제 때문에 더 어려운 상황이다. 그만두는 간호사들은 계속 늘어난다”고 호소했다.
 

이어 “제일 큰 문제는 대형병원의 웨이팅”이라며 “해당 간호사가 대형병원 입사대기 중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뽑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정책이 입안될 때 인력문제에 대한 파악이 먼저 됐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지방 소재 B병원장도 “간호등급은 떨어지는데 인력을 채우지는 못한다. 그 사이 심사가 들어온다. 결국 병원만 죄인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지방 중소병원 상황에 관심이 필요하다"고 읍소했다.

보건복지부는 유휴간호사 사업을 강화함과 동시에 내년 상반기 중 추가적인 간호인력 수급대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이스란 의료자원정책과장은 “유휴간호사나 간호대학 정원 증원이 전부가 될 수는 없을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에 간호인력 수급을 위해 어떤 것이 고민돼야 하는지 논의할 계획이다. 많은 의견이 나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