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상태 개선을 파악하기 어려운 우울증 분야에서 약물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수가 신설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최근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은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지표로 살펴본 우울증 초기 치료와 장기적 의료 현황 연구를 통해 우울증 적정성 평가와 실제 치료 질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도했다.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는 지난해 처음 실시된 것으로 ▲첫 방문 후 3주내 재방문율 ▲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 ▲우울증상 초기평가 시행률 및 우울증상 재평가 시행률 등의 평가지표와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 ▲항우울제 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 등의 모니터링 지표가 존재한다.
연구팀은 "이들 지표는 현재까지 의학적 근거와 권고를 고려했을 때 타당하지만, 현실에서는 예상치 못한 역효과나 경제적 비효율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밝혔다.
초기 치료 현황 관련 대규모 연구는 많은 편이지만, 초기 치료가 실제 질병 예후 및 전체 의료비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등의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연구팀 분석 결과, 적정성 평가 지표별 달성률을 보면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은 42.68%였으나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10.63%, 항우울제 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5.9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런데 모든 적정성 평가 지표에서, 평가 기준을 만족시키는 환자군은 정신질환으로 종합병원이나 다른 요양기관에서 입원할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왔다.
일례로 첫 방문 후 8주 이내 3번 이상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군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입원 위험도가 높았으며 이는 다른 지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입원이 필요할 정도로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 위주로 우울증 진료가 이뤄진다는 분석이 가능하다"며 "지표 미충족군에서는 증상이 악화돼도 치료를 받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즉, 평가지표를 만족시킬 만큼 의료기관 방문이 잦은 환자들은 입원이 필요한 중증이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하지만, 적정성 평가지표를 만족시킨다고 해서 환자들의 장기적 의료 이용이 긍정적으로 개선되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연구팀은 "적정성 평가지표 적용 전(前) 자료를 토대로 후향적 평가를 시행했기 때문에 당연할 수도 있으나 우울장애의 경우 보험자료를 이용해 파악할 수 있는 의료이용 결과는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경증 및 초기 우울증 환자의 약물 순응도 향상 위한 '한국형 프로그램' 개발 필요"
때문에 단순히 적정성 평가지표를 운영하는 것 외에도, 경증 우울증 환자 치료 및 우울증 초기 치료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항우울제 처방 지속률이 낮은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약물 순응도 향상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국내 항우울제 투약 순응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외래 진료 적정성 평가만을 통해 이런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하다"며 "약물 순응도 향상을 위한 한국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우울증 약물의 일반적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고 오해나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주치의와 정신건강 사회복지사나 임상심리사가 포함된 다학제팀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에 대해 현실적인 수준의 수가를 인정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이밖에도 우울장애 초기 치료시 본인부담금 경감 및 비약물적 치료 등 다양한 치료 도입을 위한 보장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