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대사와 관련한 이 같은 통념을 뒤집는 연구결과가 저명 학술지 '사이언스' 8월호에 게재됐다고 1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미국과 영국, 일본, 중국, 네덜란드 등 연구기관에서 80여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이 논문에는 생후 8일부터 95세까지 남녀 대상자 6천500명의 신진대사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담겼다.
연구에 따르면 20대 이후 신진대사가 떨어질 것이라는 통념과 달리 60세까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의 대사 활동이 이뤄진다.
또 여성이 남성보다 신진대사가 느리기 때문에 체중 조절이 힘들다는 통념도 기타 요인을 통제하면 실질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인간의 생애 주기를 신진대사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나눌 수 있다고 밝혔다.
신진대사가 가장 활발한 시기는 생후부터 1세까지로 이 시기 칼로리 소모가 최고조에 달한다. 이 시기의 신진대사율은 일반 성인과 비교해 약 50% 높다.
두번째는 1∼20세로 이 시기 신진대사율은 매년 약 3%씩 느려진다. 20∼60세는 우리의 생각과 달리 나이와 관계없이 신진대사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만, 60세 이후에는 매년 약 0.7%씩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남성과 여성의 신진대사율도 체격과 근육의 양을 보정하면 큰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의 경우 폐경이 시작되면서 신진대사가 느려지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 그런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정한 사람의 경우 신진대사율이 특이하게 높거나 낮을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이들은 모집단의 방향성에 영향을 끼칠 정도는 아니지만, 일반인과 비교해 나이에 비해 25%가량 높거나 낮은 특이값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교과서에 실릴만하다고 평가하면서, 인간 생리학에 대한 과학을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또 어린이와 노인에게 적합한 약물 투여량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일부 의료 관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듀크 대학 진화인류학자 하먼 폰처 박사는 "우리는 신체 크기와 노화가 신진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다루지 못했던 것이 분명하다"면서 "우리가 생각하는 기본적인 것들은 100년 전에 얻은 답"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