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장기 약물치료, 우울증 발생위험 30% ↓"
아주대병원 신윤미 교수팀, 1년 관찰 연구…"품행 장애 발생도 48% 저하"
2022.11.17 14:34 댓글쓰기

아동·청소년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를 1년 이상 장기간 약물치료를 하면 우울증과 품행장애 발생 위험이 각각 30%, 48%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윤미 교수팀(의료정보학교실 이동윤 전문의, 박지명 연구원)은 전국민 ADHD 코호트 33만 명 중 선별한 3508명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년동안 약물의 사용기간과 안전성 간 상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메틸페니데이트 약물을 1년 이하 단기 사용군과 1년 이상 장기 사용군으로 나눠 약물 사용기간에 따른 △우울증 △품행장애 △정신증 발병률을 확인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 환자 1차 치료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의약품이다.


그 결과, 약물 장기 사용군이 단기 사용군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30%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청소년기에 폭력적·공격적 성향을 동반하며 타인 권리를 침해하고, 반복·지속적으로 사회 규범 및 규칙을 어기는품행장애는 48%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메틸페니데이트 약물 장기 사용이 우울증과 품행장애, 정신증 위험성을 높이지 않았으며, 1년 이상 복용할 경우 오히려 질환 발생 위험을 크게 낮췄다"고 밝혔다.


ADHD는 아동이나 청소년에서 주로 나타나며 주의력이 떨어지고, 과잉행동을 하게 되며 충동 조절이 어려워진다. 아동기때 치료하지 않으면 성인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발견시 대부분 약물사용을 필수적으로 권고한다.


약물치료를 시작하면 1/3 이상 환자가 2년 이상 복용하지만, 약물 사용기간에 따른 우울·품행장애·정신증 위험성을 평가한 연구가 부족했다.


신윤미 교수는 “약물치료는 ADHD 환자 80%가 뚜렷한 호전을 보일 정도로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약물에 대한 잘못된 정보와 편견으로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번 연구에서 1년 이상 장기간 약물치료 시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ADHD를 치료하지 않으면 아동이 집중력 부족, 과잉·충동적 행동 등으로 부모나 교사, 친구들로부터 나쁜 평가를 받아 자신감을 잃게 되고, 일상·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가급적 조기 발견해 검증된 기관과 전문의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