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 응급실 파행설, 전문의協↔원장 내홍
의료진 여력 공방 이어 '4억 연봉' 채용도 충돌···"국감 면피" vs "유지 노력"
2024.07.30 05:38 댓글쓰기

응급실 파행 위기설이 제기되고 있는 국립중앙의료원(NMC)에서 전문의들과 주영수 원장 등 경영진 간 의견 충돌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NMC 소속 전문의는 "진료 프로세스 개선, 인력 충원 등을 계속 요구해왔지만 경영진은 이를 외면해오다 결국 응급실 전문의가 대거 사직하게 된 상황을 초래했다"고 29일 비판했다. 


반면 주 원장과 NMC 측은 "배후진료 여력, 의료원 재정여건 상 채용난 등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응급의료 기능 유지를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NMC 전문의협의회는 최근 응급실 상황 관련 의견을 모아 지난 7월 23일 주영수 원장 등 경영진과 면담을 가지고 대책을 요구했다.  


우선 전문의들과 의료원 측은 응급실 운영 여력을 두고 견해 차를 보이고 있다.  


전문의들은 "8월부터 응급실 운영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고 봤다. 


앞서 NMC 응급의학과 전문의 2명 중 1명이 이달 말 퇴사를 앞두고 있어 8월부터는 전문의 1명만 남는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이에 NMC는 설명자료를 내고 "총 6명 중 전문의 1명이 사직 의사를 밝힌 것이며, 현재 5명이 근무 중이다. 전문의 1명은 육아휴직 중이다"고 해명했다. 

 

구체적인 응급실 전문의 구성원 확인 결과, 낮에는 1명, 밤에는 군의관 2명(응급의학과 전공)을 포함한 3명의 전문의가 교대로 근무하고 있다. 또 내과 전문의 1명이 응급실 전담 인력으로 있다. 


이들 중 1명이 이달 사직 입장을 밝혔지만, 지난 26일 기준 기관 차원에서 사직서 수리가 결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주 원장은 면담에서 "응급실 인력이 전문의 1명만 남게된다는 지적은 수용할 수 없다"며 "응급실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일일 응급실 내원 환자가 30~50명 수준으로, 타 병원 응급실과 비교하면 적은 편"이라며 "응급실 입실 기준을 높여 타병원 전문 문의도 거의 막고, 119를 통한 환자 이송도 최소한으로 줄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응급실이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것 같아 걱정이지만 응급의학과 전문의 선생님들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신규 응급의학과 전문의 연봉 4억원 제시 관련 "일시적 조건" 비판


NMC는 이번에 응급의학과 전문의 신규 채용에 나섰다. 이달 18일자로 긴급 채용 공고를 내고 계약직 응급의학과 전문의 3명을 모집 중이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연봉 4억, 응급실 전담의는 3억원의 보수를 책정했다. 


전문의들과 경영진 모두 해당 급여 수준을 계약 기간인 내년 말까지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에는 공감했지만 해당 결정 배경을 놓고도 충돌하는 모습이다.    


면담에서 주 원장은 의료원 재정 상 전문의 채용이 어려운 실정이지만, 응급실 문을 닫는 것은 의료원 문을 닫는 것과도 같기에 응급실 정상화를 위한 취지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정부 추가 예산이 아니라 의료원에서 남는 예산으로 연봉을 맞춘 것"이라며 "내년까지 이 연봉 유지가 어렵다. 전문의들에게 편성한 3년치 성과급 20억원을 사용해 응급의학과 전문의 연봉을 맞추려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응급실 전문의 충원으로 진료·입원을 늘려도 배후 진료과 능력이 되는지도 의문"이라며 "내과, 외과, 신경과 등 지원과 인력을 현재 대거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응급실 인원을 우선 뽑긴 하지만 그 이후도 걱정이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의들은 이번 채용 공고에서 내건 4억원의 급여 수준을 내년까지 지속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명 '사기 채용'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주 원장은 응급실 정상화를 기대하는 게 아니라 그저 공고를 내고 곧 있을 국정감사에서 면피하려는 게 목적"이라고 비판했다. 


이 같은 반발에 대해 의료원 측은 "지역 내 응급환자 진료, 응급의료센터 기능 유지를 위한 의료원 노력"이라고 반박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