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지난 7일 발표한 ‘임상진료지침’에 대해 한의계가 환영의 뜻을 표하며 한의학의 표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복지부는 최근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으로 2008년부터 추진된 연구가 올해 마무리돼 ‘화병 및 근골격계 질환 임상진료지침’을 발표했다.
이에 한의계는 체질 등을 고려해서 개개인에 맞는 진단과 처방을 내리는 한의약의 특성상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표준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음에도 표준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방법을 통해 국민에게 안정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 해외 진출이 용이하다는 게 그 이유다.
한의협 관계자는 “임상진료지침이라는 게 진단, 치료, 예후 등에 관한 진료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 데이터를 만들 수 있고,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해 2차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가는 등 보다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평했다.
또한 그는 중의학을 예로 들며 표준화 작업을 통한 해외 진출의 용이성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중의학은 많은 연구와 국가 지원으로 이미 표준화 단계를 거쳤다. 이 때문에 미국이나 유럽 등 세계로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표준화는 한의학이 나아가야할 방향이다”라고 전했다.
"국가 지원 중단·진단기기 사용 제한 등 장애물"
한의계가 임상진료지침에 반색을 표했지만 화병, 근골격계 질환을 이어 또 다른 질환에 진료지침이 나올지는 미지수인 상태다.
이번 연구가 마무리되면서 관련 분야에 국가 지원이 중단됐고, 일반 임상 현장이나 연구실 등에서 추진하기에는 진단의료기기사용이 수월하지 않다는 점이 문제다.
최근 발표된 임상진료지침은 복지부가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으로 총 예산 23억이 투입돼 2008년부터 진행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가 마무리됨에 따라 관련 추가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즉, 다른 질환에 대한 진료지침 마련이 복지부 차원에서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의미다.
복지부 관계자는 “모두가 알고 있듯 복지부 예산은 한정돼 있다. 관련 사업이 마무됨에 따라 2014년도 예산에는 진료지침 마련 예산이 반영되지 못했다”고 전했다.
한의계가 꼽은 또 다른 장애물은 한의사들의 진단의료기기 사용이 수월하지 않다는 점이다.
한의협 관계자는 “진료 후 예후, 투약 지침 등을 누가 봐도 알 수 있게 진단의료기기 사용을 통해 근거를 만들어야 하는데, 지금 그러한 작업이 어려운 실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