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망자 33% 심혈관·25% 감염성질환
보사硏 '개성공업지구를 남북 보건의료 교류·협력 장으로 활용해야'
2014.05.21 20:00 댓글쓰기

남북 간 상이한 보건의료제도와 건강 격차가 통일 이후 사회적 통합의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북한 인구의 절대 다수가 심혈관 및 감염성질환 때문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통일 대비 보건의료분야의 전략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남한의 노인인구 비율은 12.2%, 북한 8.7%로 남북 모두 노인 만성질환 관리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사망자 주요 사인은 33%가 심혈관질환, 25%가 감염성질환으로 파악됐다.

 

 

반면, 남한 사망자는 암 30%, 심혈관질환 29%였으며 감염성질환은 5%에 불과했다. 북한의 경우 암으로 사망하는 이들은 13%로 집계돼 남북한 사인의 차이를 보여줬다.

 

영아사망률의 경우 북한은 출생 1000명당 26명으로 남한 4명에 비해 약 7배 높을 정도로 수준이 열악했다.

 

사인을 보면 생후 1개월 이내 사망이 50%였으며 기초의약품 및 식수 개선만으로 예방 가능한 설사, 호흡기감염증이 나머지 50%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5세미만 아동의 만성 영양장애비율은 27.9%, 빈혈 증상은 23.7%의 아동에게서 나타났다.

 

"결핵관리 매우 열악해 대책 마련 절실"

 

북한이 최우선적으로 관리해야할 질환은 결핵으로 분석됐는데 결핵 발생률이 지난 2012년 기준 북한 인구 10만명당 409명으로 전년도보다 증가했다. 이는 아시아에서는 동티모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였다. 결핵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9명으로 남한보다는 약 4배가량 높아 대책 마련이 시급했다.

 

특히 북한 결핵환자 14.7%는 다제내성 결핵으로 추산돼 결핵 치료제가 부족한 것 보다는 전문적인 환자관리 체계 미흡에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생활습관병연구센터 황나미 연구위원은 “북한은 백신부족 및 방역체계가 붕괴돼 수인성질환 및 신종플루 등 신종 전염성질환 발생 시 대응에 무방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황나미 연구위원은 “통일 초기,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통일대비 보건의료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식량부족과 만연된 전염병 등으로 인한 북한사회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북한주민의 대량 남하이주를 방지할 수 있는 위기관리시스템 가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주민의 심각한 건강수준과 영양결핍 문제는 통일 후 북한주민에 대한 사회적 배제현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남북 접촉이 이뤄지고 있는 개성공업지구를 남북 보건의료 교류·협력의 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개성공업지구에 의료기기, 주사기 및 약솜 공장 등 보건의료산업을 육성하고, 통일전후 안정적인 보건의료 지원과 지속가능한 의료 안전망 구축을 위해 법적,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