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메디 구교윤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 정밀의료 소프트웨어 '닥터앤서(Dr. Answer, Ai-network-software-er)' 활용 범위를 늘리겠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건강보험 급여 등재로 이어질지 기대를 모은다.
닥터앤서 임상 사례 비용 효과를 분석하고, 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겠다는 계획인데 실질적인 환자 편익을 입증하게 되면서 수가로 인정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를 비롯해 복지부, 산업부, 식약처, 소방청은 제4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정밀의료 SW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서 과기부는 "정부가 그동안 추진해온 디지털 뉴딜 정밀의료 SW 핵심사업으로 닥터앤서를 국민 생활 속에 널리 보급해 국민 체감도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닥터앤서는 과기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난 2018년부터 3년 간 총 488억 원(정부 364억 원, 민간 124억 원)을 투자해 개발한 한국형 정밀의료 솔루션이다.
진단정보, 의료영상, 유전자정보, 생활패턴 등 다양한 의료데이터를 분석해 질병을 예측하고 개인 특성에 맞는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닥터앤서는 8개 질환 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해 21개 AI정밀의료 SW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했으며, 국내 의료기관 65곳에서 환자진료에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여기서 나아가 오는 2024년까지 '닥터앤서 2.0(1차, 2차, 3차 의료기관까지 확대)', 2023년까지 닥터앤서 밀리터리(군의료기관 36곳)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전국 8개 주요 거점 지역 상급종합병원과 건강검진센터를 '닥터앤서클리닉'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이는 다양한 AI 의료 SW를 보급해 수도권 대형병원을 가지 않아도 국민이 거주지 인근에서 고품질 AI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정부의 이 같은 발표에 향후 닥터앤서 건강보험 급여 등재가 현실화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동안 닥터앤서 보험 수가 등재를 위해서는 '편익'을 입증하는 일이 관건이었으나 이를 입증할 만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향후 닥터앤서 사용 주체가 늘어나면서 국민체감도를 높일 경우 자연스럽게 건강보험 등재를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모인다.
앞서 심평원도 닥터앤서를 수가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확신한 편익을 입증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심평원이 지난해 펴낸 AI와 관련 병리학분야 보험수가 적용 가이드라인도 의료 AI 기술은 기존 행위 대비 환자에게 이익이 되는 부분이나 비용 절감 효과가 입증될 경우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과기부는 닥터앤서를 사용하는 의료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지원하는 '닥터앤서 SW 스쿨'도 연다. 교육 내용은 닥터앤서 개론, 의료데이터 처리개론, 의료AI 개론, AI 의료기기 인허가 제도 등이다.
닥터앤서 글로벌 브랜드화도 추진한다.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 9개국에 상표를 등록하고 국내 IT기업 글로벌 플랫폼 연계 진출, 의료기기 전문전시회 전시 참가 지원방안을 검토한다.
내년 하반기로 예상되는 닥터앤서 사우디 수출을 계기로 인근지역을 포함한 'K-SW' 수출 거점을 구축하고 다양한 AI SW교육 지원방안을 검토한다.
또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는 소아희귀질환에 대해 AI 적용 범위를 현재 2종에서 8종으로 확대해 환아와 가족이 겪는 고통을 덜어주는 ‘닥터앤서소아과'를 개발할 예정이다.
그동안 IBM 왓슨 대항마로 불리던 닥터앤서 상용화에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