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癌), 다학제 진료 능사 아니고 '선별 접근' 필요"
전문가들 "평가지표 개선‧협진수가 현실화 등 다각적 해결방안 모색 절실"
2023.10.10 10:49 댓글쓰기

[기획 下] 그렇다면 암환자와 임상 현장에 모두 필요한 다학제 지표 개선은 어떻게 이뤄지는 것이 최선일까.


이와 관련, 적정성 평가를 담당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다학제 진료 평가지표 사안의 문제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지를 하고 있는 상태다. 


애초 다학제 진료는 여러 분야 전문가가 모여 치료 방향을 논의, 최적의 치료 방법을 제시할 목적으로 설계됐기 때문에 현장 목소리를 반영할 여지는 충분하다. 


실제 1차 지표를 거쳐 현장 의견을 반영해 수술 전(前) 선행 항암치료 등 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에서는 선행 치료 등을 사유로 30일 이내 수술이 불가능 시 평가 대상에서 제외됐다. 


현재 2주기 암 평가지표를 도입한 것은 모든 암 환자에게 다학제 진료를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게 심평원 입장이다.


가장 먼저 시행된 주기 1차 평가 결과 분석 후 다학제 시행 현황을 파악하고 목표치 등 추가로 세부 기준을 개선할 계획이다. 


즉 3기 평가에 대한 개선 원칙이나 방향성은 2주기 1차 평가 결과를 보고 평가지표나 기준을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의료현장에서는 다학제 진료의 대상 환자 설정이 암 종별 기수마다 달라 세밀한 설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주류를 이룬다.


이 같은 방향성이 다학제 지표에 일부 반영됐지만, 지표가 임상 현장에서 제대로 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지표 조율이 아직 더 필요하다는 의미다. 


이는 관련 학회에서도 동의한 부분이다.


대한위암학회 한상욱 이사장은 “내시경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위암 수술의 경우는 다학제 지표가 그리 현실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 


위암 4기에서 항암제 사용과 수술까지 고려하는 최근 추세를 보면 다학제 가능성이 높지만, 구체적인 다학제 활용 필요한 시기 등은 보다 세부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다. 


한 이사장은 “모든 위암에 다학제 진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며 “다학제로 최적의 치료방법을 찾을 수 있지만 조기 발견된 위암에 무조건 다학제를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또 다른 현장 전문가들은 "다학제 진료 활성화를 위해 수가 현실화, 타 진료과목 협의 진찰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중에서 다학제 지표 정착을 위해서는 수가 현실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현재 저수가 구조에서는 다학제를 실시해도 손해를 볼 가능성이 큰 구조이기 때문이다. 


"다학제 진료 필요하지 않은 암환자에도 진료 적용은 의료자원 낭비"


지나치게 폭넓은 다학제 진료는 저수가 상황을 무시한 지표라는 지적도 있다. 결국 다학제가 필요한 경우와 필요치 않은 경우를 명확하게 구분해 의료자원 낭비를 막아야 한다는 얘기다.


다학제는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찾아가는 과정이지만, 필요치 않은 영역에도 다학제를 적용한다면 다른 환자시간을 뺏는 행위가 된다는 의미다. 


C상급종합병원 암병원장은 “암 적정성 평가 도입 초기부터 수가 인상이 논의됐지만 반영되지 않았다”며 “당시 최소 5배 이상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정부에 전달됐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했던 ‘암 적정성 평가 개선방안 연구 보고서’에서도 다학제 필요성은 인정했지만 방향 설정이 중요하다고 분석됐다. 


연구진은 다학제 진료 정착을 위해서는 '전문인력 구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연구진은 “전문인력 구성 지표 중요성이 더욱 강조돼야 한다”며 “향후 전문인력 구성에 전문의는 물론 영양사, 간호사, 사회사업팀 등도 포함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진단했다.


병원계 한 관계자는 “향후 암 적정성 평가가 2기를 넘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의료진 수행도 및 현장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 지표가 적용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