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비만 아동 증가→성조숙증 '급증' 추세
윤종서 키탑 소아청소년과원장 "부정확한 정보 의존하는 부모들 안타까워"
2023.08.25 05:41 댓글쓰기



소아비만 아이가 늘어나면서 성조숙증이 나타나는 소아청소년들이 급증하고 있지만, 부모가 아이 성장과 관련해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매우 힘들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윤종서 키탑 소아청소년과 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를 갖고 "성조숙증은 진단 시기와 꾸준한 추적관찰이 매우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부모들이 관련 정보를 얻을 곳이 부족하다"고 주장했다.


윤종서 원장은 최근까지도 한림의대 소아청소년과 소아내분비 교수로 재직하며, 강동성심병원 웰빙센터에서 아이들 성장 관련 질환을 주축으로 담당했다.


하지만 올해 3월 소아청소년과 의원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대학 교수직을 그만두고 개원을 선택했다.


그는 "대학병원에서 주로 성장평가, 저신장, 성조숙증 등을 진료했다"며 "국내 의료환경 한계로 의료진에게 충분히 설명을 듣지 못하고 온라인의 정확하지 않은 정보에 의존하는 보호자들을 보고 안타까움을 많이 느꼈다"고 전했다.


이어 "경험이 풍부한 주치의가 추적관찰을 통해 아이 성장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충분히 설명해 주는 것이 환자와 보호자가 가장 바라는 것으로 생각한다"며 "근접 거리에서 편하게 진료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원을 결심했다"고 개원 취지를 설명했다.


“저출산 속 성조숙증 어린이 꾸준히 증가”


최근 코로나19 이후 과체중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성조숙증이 나타나는 아동 비율이 크게 늘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성조숙증은 여아의 경우 만 8세 이전,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사춘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뜻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12년 동안 성조숙증 치료제를 투여받은 경우는 2008년 기준 여아는 16배 남아는 83배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전인 2019년 성조숙증 치료를 받은 아이들은 10만8000명에서 2022년 기준 17만7000명으로 64%가 증가했다.


같은 시기에 태어난 아이들은 30만2000명에서 24만9000명으로 18% 감소한 것을 고려하면 굉장한 증가 추세다.


윤종서 원장은 “10년 전과 5년 전, 현재를 비교하면 사춘기가 나타나는 연령대가 점점 어려지고 있다”며 “너무 이른 시기에 사춘기가 오면 성조숙증으로 유전적으로 클 수 있는 최대한의 키까지 크지 못하고 이르게 성장판이 닫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춘기 연령대가 빨라진 데는 청소년 비만율 증가 등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윤 원장은 “체지방은 호르몬 분비 기관이기 때문에 체지방이 늘어날수록 사춘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라면이나 과자, 치킨 등 정크푸드에 무분별하게 노출된 식단은 체지방이 표준 이상으로 증가해 성장판이 빨리 닫히고 성조숙증이 동반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이 성조숙증 예방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정크 푸드 줄이기 등 식단 조절"


윤 원장이 보는 성조숙증 예방을 위한 가장 첫 단계는 정크 푸드를 줄이고 운동량을 늘려 체지방 증가를 막는 것.


그는 "아이 식습관 관리가 성조숙증을 예방하는데 특효"라며 “아이들은 식단 조절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지만 의사가 충분한 시간을 갖고 아이에게 식단 조절의 중요성을 설명하면 의지를 갖고 체중 조절에 성공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또한 윤 원장은 “성조숙증은 진단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키(신장)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너무 늦은 시기에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으면 할 수 있는 치료가 많지 않아 안타까운 경우가 있다”며 “성장판이 닫히고 나면 성조숙증을 진단받아도 치료를 권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성조숙증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면 여아는 만 8세 이전, 남아는 만 9세 이전에 전문의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