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3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2400조원' 성장
한국바이오협회, '디지털 헬스케어 전망' 보고서 발간…앱 33만7000개 육박
2025.03.29 07:14 댓글쓰기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이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2033년 2400조원 가까이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디지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앱) 수는 약 33만7000개였으며 건강 상태 관리 앱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24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현황·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408억5000만달러(약 352조5500억원)으로 추산됐다.


특히 지난해부터 10년간 21.11%씩 성장해 2033년 1조6351억1000만달러(약 2393조4740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성장을 주도하는 요인으로 ▲스마트폰·태블릿·모바일 플랫폼 보급 증가 노인 인구 확대 만성 질환 유병률 환자 중심 의료 솔루션에 대한 관심 등을 들었다.


반대로 성장 억제 요소로는 상호 운용성 문제와 높은 비용 등을 거론했다.


또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핵심 트렌드로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된 건강관리'를 꼽았다.


특히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이 원격의료 서비스 분야 혁신을 촉진하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멀티오믹스 기술 역시 의료 서비스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팀은 “국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보급률이 90%가 넘고 전 국민이 건강보험을 기반으로 한 보건 의료체계를 갖췄다”며 “AI, 웨어러블 기술, 의료 빅데이터 등 혁신 기술과 결합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개별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와 소프트웨어 포함 의료기기(SiMD) 도구 수는 801개였다.


중복 승인을 포함하면 지난해 6월까지 총 952건의 인공지능(AI)·머신러닝(ML) 관련 승인을 내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의료기기가 처음 FDA 승인을 받은 1995년부터 2015년까지는 승인 건수가 33건에 불과했지만 그 이후 급증했다.


2020년부터는 매년 100건 이상 승인됐고, 2023년에만 210개의 AI·ML 기기가 허가됐다. 현재까지 승인된 AI 의료기기 75% 이상이 방사선과에 활용됐다.


AI 의료기기 FDA 승인 증가로 이에 대응하는 규제도 확립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세계 최초로 디지털 기술 적용 의료제품의 규제지원 법령체계를 정한 '디지털의료제품법'을 시행했다.



세계 소비자, 환자, 의사가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앱) 수는 약 33만7000개였다. 건강 상태 관리 앱이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디지털 치료제는 360개 이상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데, 220개가 병·의원에서 사용됐다. 나머지 140개는 가정에서 쓸 수 있다.


또 독일에서 가장 많은 56개 디지털 치료제 보험급여를 적용했고, 미국이 46개로 뒤를 이었다.


국내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성장세가 두드러졌으나 개인정보보호법, 원격진료 등 법적 규제와 건강보험 의료 수가 적용문제 등이 진입장벽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디지털 치료제 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 보유국인 미국 대비 78% 수준으로 약 3년 늦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기술 격차가 발생한 요인으로 정부 정책과 규제를 지목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