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성대‧가톨릭 의대생들도 '복귀'
서울대‧연대 등 빅5 의대생 '확정'…충북대‧경희대‧원광대 '시한 연장'
2025.03.29 07:31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의대생 대다수가 복귀를 신청한 데 이어 울산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의대생들까지 대부분 1학기에 등록하기로 하면서, 빅5 병원과 연계된 대학 모두 의대생들이 제자리로 돌아오게 됐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복귀 신청하지 않은 대학들도 등록 기한을 속속 연장하면서, 의대생들 복귀 흐름은 확산할 전망이다.


29일 의료계에 따르면 성균관대 의대 학생회는 전날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등록 여부 관련 투표를 진행한 결과, 과반이 복귀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성균관대 의대생들은 등록 마감 기한인 28일 자정까지 전원 복학 등록을 하기로 했다.


같은 날 복학 신청을 마감한 가톨릭대 의대도 내부적으로 1학기 등록을 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고, 상당수가 실제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울산대 의대 학생들 역시 28일 내부 논의를 거쳐 전원이 복학 신청하기로 결정하면서, 울산대는 당초 26일까지 등록을 마감하고 미등록 학생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려던 계획을 보류했다.


이 같은 복귀 흐름은 앞서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 의대생들 복귀 기류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특히 연세대 의대생들은 지난 26일 기존 '미등록 휴학'에서 '등록 후 휴학'으로 입장을 선회하면서, 1학기 등록을 마감한 결과 미등록 학생 1명만 제적 처리됐다.


최재영 연세대 의대 학장은 지난 28일 의대 교수들에게 공지를 통해 "등록 마감 결과 1명을 제외하고 모든 학생이 복학을 신청했다"며 "우리 대학에서는 1명의 제적 학생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복귀 신청한 의대생들이 등록 후 휴학 내지 수업을 거부할 것이라는 우려에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은 수업일수 기준에 맞춰 유급 처리할 것"이라며 "수업 방해 행위가 발견될 경우 즉각 징계위원회를 열겠다"고 밝혔다.


서울대 역시 지난해 휴학했던 학생들이 대부분 복학 의사를 밝히며 사실상 전원 복귀했고, 고려대 의대는 80% 이상이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생이 입장을 선회한 직후 성명을 통해 "일부 동요가 있었지만 나머지 38개 단위는 여전히 미등록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으나, 사실상 단일대오 균열은 깨지고 있는 셈이다.


의대생들 복귀 흐름이 뚜렷해지자 다수 학생이 미등록 상태인 대학들도 복귀 시한을 잇따라 연장하고 있다.


지난 28일 등록을 마감하려 했던 충북대는 이달 30일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받기로 했으며, 경희대도 30일까지, 원광대는 31일까지 등록 시한을 연장했다.


복귀 흐름이 본격화되면서, 정부가 제시한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지난 28일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적인 수업을 할 경우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바 있다. 


주요 대학들이 대부분 정상 등록을 마친 만큼, 의정 협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이달 31일 전체 복귀율이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남은 대학들의 선택과 정부의 대응이 향후 의대 교육 정상화의 방향을 가늠할 중요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헐.. 제적?? 03.29 13:29
    역시 의사의 적은 의사네. 그렇게 출세하고 좋은 자리차지하고 개인의 입신양명, 명예욕을 위해 자식과도 같은 한 개인의 일생을 저렇게 무참하게 짚밟아도 된다는 이야기인가? 지금 이 투쟁이 그렇고 그런 투쟁이었던가?  아주 형편없는 집단이다. 

    짐승도 저러지는 않는다. 과거 구제역 사태때, 소들 살처분해야하는 공무원들이 한 실제증언이 그랬다. 소들 살처분하려고 다가서니, 어미소가 새끼소 살릴려고 앞을 가로막더란다. 제대로 스승이라면 온몸으로 막아줘야 하는거 아닌가? 한심하다. 학장은 스스로 공무원같은 실무자급인지, 아니면 스스로 진정한 스승인지 한번 스스로 반문해봐라. 제자를 타박할때 타박하더라도 스승으로서의 도리는 해야할 것이 아닌가?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