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순천시 반발 불구 의대 신설 추진
6월 용역기관‧10월 대학 선정…"순천대 불참에도 더 늦출 수 없다"
2024.05.24 12:18 댓글쓰기




명창환 전남도 행정부지사가 23일 국립의대 관련 용역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 전라남도



윤석열 대통령이 전남지역 국립의대 신설을 언급한 지 2달여만에 전남도가 신설 의대 선정에 돌입했다.


그러나 의대 설립 유력지 중 한 곳인 순천 지역이 공모방식의 불공정성을 이유로 여전히 반발하고 있어 파행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이에 전남도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며 10월 내로 대학 선정을 마무리한다는 입장이다.


공신력 있는 기관에 위탁해 공모 진행…"도민 의견 적극 수렴"


전남도가 23일 '전라남도 국립의대 신설 정부 추천을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 14일 전남지역 국립의대 신설을 언급한 지 2달여만이다.


전남도는 공모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공신력 있는 대형 컨설팅 업체나 대형로펌 등에 위탁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는 6월까지 용역기관을 선정한 뒤 10월 말까지 정부에 대학 추천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용역기관 선정은 지방계약법에 따라 공개경쟁입찰과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으로 입찰 절차가 진행된다.


선정된 용역기관은 설립방식선정위원회를 구성해 국립의대 및 대학병원 설립 방식을선정한 뒤 사전심사위원회를 구성해 평가 기준 마련과 평가심사위원을 선정하고 평가심사위원회에서 정부 추천대학을 최종 선정한다.


이 과정에서 도민 의견수렴을 적극 반영하는 한편, 미선정 지역에 대한 보건의료대책도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명창환 전남도 행정부지사는 23일 "순천대와 목포대 두 대학, 도민 등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공모 기준을 정하는 등 모든 과정을 공평무사하게 처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대학이 선정되더라도 소외되는 지역이 없도록 전(全) 도민의 건강권 확보와 지역 의료체계 완성을 위한 획기적 보완 대책도 종합적으로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난 17일 국립의대 설립 관련 5자 간담회를 열렸으나 순천대와 순천시는 불참했다. 사진제공 전라남도


목포 "공모 불가피하다면 면밀히 준비해 참여"

순천 "편향된 용역, 동부권 독자 의견수렴 하겠다"


그러나 전남도의 공모방식 추진에 대한 순천지역의 반발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목포와 순천 두 지역은 전남지역 최초 의대 신설을 두고 10여년간 갈등을 빚다가 지난해 가까스로 통합의대 신설에 뜻을 모았다. 


하지만 지난 3월 윤 대통령의 전남지역 의대 신설 발언 직후 두 지역 모두 단독의대 설립을 주장하며 재차 분열됐다.


결국 전남도는 지난 4월 2일 기존 논의된 통합의대가 아닌 공모방식을 통해 단독의대 설립 추진을 천명하고 이를 추진해왔다.


전남도의 발표 직후 두 지역은 모두 공모방식의 공정성을 우려하며 반발했으나, 이후 전남도의 설득으로 목포지역은 공모에 참여하는 방향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전남도가 지난 17일 개최한 국립의대 설립 간담회에도 목포시와 목포대만 참여하고, 순천시와 순천대는 불참한 채 진행됐다.


송하철 목포대 총장은 지난 23일 목포시‧목포시의회‧목포대 공동 기자회견에서 "특정 지역의 문제 제기로 더 이상 늦춰지는 것은 의대 신설이 늦춰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전남도의 공모 절차는 교육부의 심의를 받을 대학을 추천하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법적 문제 소지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전남 국립의대 신설은 최종적으로 교육부 심의과정에서 결정되는 것"이라며 "목포대는 공모가 불가피하다면 면밀하게 준비해서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노관규 순천시장은 지난 22일 기자회견을 열고 전남도가 공개한 2021년 전남도 국립의대 및 부속병원 설립‧운영 방안 연구 용역보고서 분석 결과를 내놓으며 "편향된 용역"이라고 비판했다.


노 시장은 "의료전문가와 용역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58개 지표 중 43개 지표가 목포 등 서부권에 유리하도록 설계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남도가 추진하려는 공모도 신뢰할 수 없는 만큼 순천 등 동부권만의 별도 여론조사 등으로 독자적인 의견 수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에 명창환 부지사는 "국립의대 설립이라는 200만 전남도민의 간절한 염원을 이루기 위해서라도 두 대학이 정부 추천 공모에 참여해줄 것을 믿는다"며 "이를 위해 전남도는 무한 인내하면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설득하겠다"고 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