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의원은 이날 자신의 SNS에 "정부가 내놓은 의료교육 정상화 방안은 여전히 미흡하지만, 국민 건강과 생명의 위기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의원은 현 상황에 대해 "지난 1년간 초과사망자만 해도 8000~1만명으로 추정된다. 국고도 5조원 이상 썼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필수·지방의료는 더 악화됐고, 신규 의사도 전문의도 거의 배출되지 않았다. 해결된 것은 아무것도 없고, 남겨진 상처는 너무나 크다"고 짚었다.
그는 의대생 및 전공의 복귀를 강력히 호소하면서 정부에 ▲의료진 보호 ▲지방의료원 설립 및 지원 ▲수가 개선 ▲의사과학자 양성 ▲의료인력추계위원회(이하 추계위) 설치 등을 촉구했다.
특히 의료진 보호 대책으로 "의료진이 선의로 환자를 살리려다 처벌받는 일이 없어야 한다"며 "불가항력적 사고에 대해 국가가 보상하고 의료진 처벌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현재 급여 진료수가가 원가 이하로 책정돼 병원이 비급여 진료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필수의료 수가를 공정하게 인상하고 비급여 수가는 투명하게 공개해서 병원 간 비교가 가능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과학적인 의대 정원 산정을 위한 추계위 설치를 요구하며 "향후 인공지능(AI) 활용, 인구 감소, 원격진료 도입 등 환경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검토를 거쳐 의료인력 수급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이제 의대생과 전공의가 돌아오고, 의료계가 참여한 가운데 원점에서 의료개혁을 다시 시작하자"면서 "낮은 가격, 높은 품질, 빠른 진료로 세계가 부러워했던 대한민국 의료를 되찾기 위해 여야의정이 함께 힘을 모을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