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갈등이 1년 이상 장기화되며 119구급대원들이 지친 심경을 토로했다.
특히 병원 선정 문제로 고초를 겪어 온 이들은 "병원 응급의료 능력 평가를 강화하고, 평가 시 119구급대 환자 수용 및 이송률을 반영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오늘(17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전국공무원노조 소방본부 서울소방지부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현장응급의료 실태 개선을 위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부터 있어 온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의정갈등으로 가시화되면서 대외적인 발언 등에 나설 때 노조 조끼를 입으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한 지부원은 조끼를 벗으며 "저희는 시민들이 신고하면 달려오는 구급대원이고, 구급대원 입장으로서 오늘 자리에 임하겠다. 제 행동이 국민이나 조직에 해가 된다면 징계를 받을 것"이라며 결연한 의지를 내비쳤다.
지부는 "응급실 과부하로 인한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해결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며 "119구급대가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찾기 위해 전전하는 현실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8월 기자회견 이후 소방청이 언론 대응 유의사항 지침을 내려보내 구급대원들의 언론 접촉이 제한되고 있다"며 "이에 실태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병원과 응급실 의사 상황만 알려지고 있다"고 기자회견 취지를 밝혔다.
구급대원들은 환자를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하지 못하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겪으면서 자괴감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병원으로 이송되지 못하는 경우 현장 처치라는 명목으로 상황이 마무리되는 경우가 부쩍 늘어난 실정이다.
이에 지부는 "응급의료시스템이 더는 방치되지 않도록 119구급대와 정부, 의료기관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 의료기관 응급의료능력 평가 강화 ▲통합된 정확한 의료기관 정보, 119구급대에 제공 ▲119구급상황센터 의료기관 선정 시 강제력 부여 등이다.
지부는 "병원 응급의료능력을 평가할 때 119구급대 환자 수용 및 이송률을 반영한 평가항목을 즉각 도입하라"며 "병원 정보시스템 수용 불가 사유를 명확히 표시토록 조치하라"고 요구했다.
이어 "법적·행정적 권한으로 이송 지연 및 불가 상황 등이 누락되지 않도록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