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의료기관 중환자실 실태를 파악하고, 응급실처럼 운영체계 및 정보를 통합해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 송영조 과장은 27일 전문기자협의회에 “병원별 중환자실 역량을 파악해 최종적으로 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송 과장은 “빅5 병원 등 대형의료기관과 종합병원 등은 중환자실이 모두 다른데 각 의료기관이 어느 수준의 중환자실을 구축하고 있는지, 운영체계는 어떻게 되는지 등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게 될 것”이라고 취지를 전했다.
복지부는 단순 장비, 인력 수준 등 구조적인 부분을 넘어 실제 중환자실이 어느 정도의 중증도를 가진 환자를 보는지 등 역량을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실제 중환자실을 거쳐 간 환자들의 데이터 파악을 통해서다.
최근 중환자실 진료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중장기 정보전략계획(ISP) 수립을 위한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 사업’ 위탁기관에 ‘대한중환자의학회’가 선정됐다.
복지부는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 사업 위탁기관 선정 공모’를 진행했다. 위탁 후 오는 12월까지 진행되는 이번 사업에 13억1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됐다.
대한중환자의학회는 ▲중환자실 진료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중환자실 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중장기 ISP 수립 ▲복지부장관이 중환자실 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항에 대한 사업을 추진한다.
예산 13억원 중 3억원은 ISP에 투입되고, 나머지 10억원 대부분은 인건비인 것으로 알려졌다. 30개 병원에 직접 나가서 현황을 파악하고 정보를 입력하면서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상황이다.
송 과장은 “응급실은 응급의료법에 근거해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고, 네디스라는 프로그램에서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중환자실 관리는 이 같은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병원마다 제각각”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전국에 있는 중환자실에 대한 정보를 통합관리하는 시스템은 전혀 구축되지 않았다. 코로나19 당시에도 각 의료기관 중환자실 환자 수용 가능 여부에 대해 개별적으로 확인해야 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각 중환자실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합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복지부는 아직 확정 전이지만 일단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총 30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제 위탁기관을 선정했고, 조만간 의료기관들과 정식 계약을 진행할 예정이다.
송 과장은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려면 일단 각 병원들이 어떤 것을 갖고 있는지, 어떤 식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면서 “현재로선 법적 근거에 의해 할 수 없기 때문에 지난해 기본 작업을 위한 예산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는 “일단 올해 상반기에 정보 수집을 시작한다. 올해 안에 마무리될지 모르겠지만 상황을 지켜보면서 일정은 조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