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칸디다 아우리스', 법정 감염병 지정"
대한임상미생물학회 "다제내성 진균 국내 감염 증가, 병원 내 우려 큰 상황"
2025.03.12 12:41 댓글쓰기

대한임상미생물학회가 신종 다제내성 진균인 칸디다 아우리스(Candida auris, C. auris)의 국내 감염 사례 증가에 따라 법정 감염병 지정을 촉구했다. 


다제내성 진균에 대한 병원 내 감염 우려 커지는 데 따른 것으로 기존 항진균제 내성은 물론 병원 환경에서 장기간 생존할 수 있어 의료기관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신종희 전남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C. auris는 다제내성 세균처럼 병원 내 전파력이 강하고, 기존 소독제의 효과가 제한적”이라며 “정확한 진단과 감염관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하고 감시 시스템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12일 밝혔다. 


학회 연구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주로 저병원성의 동아시아형(Clade II형) 균주가 발견됐으나, 최근에는 항진균제 내성이 강한 고병원성 남아시아형(Clade I형) 균주 유입사례도 보고돼  추가 감시와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C. auris는 지난 2009년 일본과 한국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 35개국 이상에서 감염 사례가 확인됐으며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C. auris를 다제내성 병원체로 지정했다. 


법정 감염병 지정 및 감시체계 강화 필요


대한임상미생물학회를 비롯해 국내 전문가들도 감염병 지정 및 감시체계 강화 필요성에 공감했다.


이미경 중앙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는 “기존 생화학적 방법으로는 잘못 동정될 가능성이 높아, MALDI-TOF MS같은 최신 진단기법을 활용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C. auris의 주요 감염 경로는 면역저하 환자, 장기 입원 환자, 카테터 및 인공호흡기 사용 환자 등이다. 중증 감염 발생 시 사망률은 30~60%에 이른다.


항진균제 내성은 플루코나졸(62% 이상 내성), 일부 Clade는 암포테리신 B 및 에키노칸딘 계열에도 내성이 존재한다. 일반 소독제 효과가 제한적이며 미국 질병관리센터(CDC)는 소독제(EPA List P 및 K)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대한임상미생물학회는 “C. auris 감염 예방을 위해 의료기관이 손 위생과 환경 소독을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또한 의료진뿐만 아니라 병원 내 모든 직군에 대한 감염 예방교육이 필요하며 C. auris 유입 감시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