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형진 서울대 교수, 임성기연구자상 대상 수상
임성기재단, 상금 3억원 수여···젊은연구자상 '임세진·이원화 교수'
2025.03.06 16:55 댓글쓰기

한미약품 창업주 임성기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집념과 유지, 철학을 받들기 위해 제정된 ‘임성기연구자상’의 네번째 시상식이 지난 4일 서울 삼청동 뮤지엄 한미에서 열렸다.


제4회 임성기연구자상 대상 수상자인 서울대학교 뇌인지과학과 최형진 교수는 상금 3억원과 상패를, ‘젊은연구자상’ 수상자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임세진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화학과 이원화 교수는 상금 각 5000만원과 상패를 받았다.


임성기재단이 주관하는 임성기연구자상은 국내 최고 권위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부문 상으로 의학, 약학, 생명공학 분야 석학들로 이뤄진 독립된 심사위원회가 엄격히 심사, 수상자를 결정한다. 


시상식은 김창수 임성기재단 이사장의 환영사에 이어 김형식 대한약학회 회장과 박영민 국가신약개발사업단 단장 축사, 심사위원장인 김효수 서울대병원 교수 심사보고, 수상자들 소감 발표 순으로 진행됐다.


김창수 임성기재단 이사장은 “임성기재단은 ‘더 좋은 약’을 만들어 모든 사람들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고자 했던 임성기 선대 회장의 신념을 받들어 앞으로도 의약학 및 생명공학 분야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고, 인류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상식이 열린 ‘뮤지엄한미 삼청’은 한미약품 공익재단 가현문화재단이 운영하는 한미사진미술관이 20주년을 맞은 지난 2023년 서울 삼청동에 새로 건립한 사진예술 전문 미술관으로, 건축물의 예술성과 주변 자연 경관이 어우러져 지역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댓글 1
답변 글쓰기
0 / 2000
  • 윤진한 03.06 21:26
    필자는 성균관대 출신입니다. 대학관련, 대중언론도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더군요. 그래서 합법적 인터넷 미디어인 댓글로 의견제시를 하고 있습니다.  미국같은 자유 민주주의 나라에도 학벌 존재합니다. 동아시아나 서유럽은 대학 역사가 오래되어, 세계사나 국사, 국제법.헌법.주권등을 종합하여 자격이 존중됨. 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 서강대는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이 뒤로 倭서울대.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학벌없지만, 미군정때 성균관 약탈하기 위한, 하위법과 대중언론.사설입시지때문에, 다른 대학들이 서울대 이기기 어려울것. 대중언론 과정으로 보면 주권.학벌없는 서울대 뒤 연세대,고려대,이화여대. 어떤 입장을 가졌어도, 욕구불만은 존재할것.@약탈당하면서도, 국사 성균관자격 성균관대는 한국 최고(最古,最高)대학 학벌을 유지하며,미군정이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2차대전이전 세계의 지배세력이던 서유럽과 교황청은, 동아시아가 어찌할 수 없는 미국인들의 이민자 조상들이라는게 강점입니다.가톨릭과 개신교!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