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안암병원 위장관외과 박성수 교수팀이 역류성식도염에 대한 항역류 수술(Laparoscopic Nissen Fundoplication, LNF)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제시했다.
기존에는 식도 기능검사를 통해 수술 필요성 유무만 판단하고 수술 후 증상 호전 확률과 호전 정도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수술을 진행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객관적 수치를 기반으로 수술 효과와 호전 정도를 예상할 수 있게 됐다.
따라서 항역류수술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증상에 따른 치료 효과를 의료진으로부터 미리 제공받고 수술 결정을 할 수 있다.
기존에는 객관적인 수치나 검사결과 없이 주로 주관적인 환자 보고에 의존했던 반면 연구팀은 24시간 식도산도검사와 식도내압검사를 통해 보다 정밀한 예측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두 건의 연구를 통해 항역류 수술 전후 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첫 번째 연구는 환자들의 볼루스 노출이 수술 후 증상 호전과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이며 두 번째 연구에서는 LES 구조적 요인이 수술 성공 예측에 중요한 요소임을 규명했다.
두 연구는 수십 년 동안 수술적 치료 대상을 판정했던 두 가지 요소보다 뛰어난 예측력을 보여주는 독보적인 결과를 보여줬다.
첫 번째 연구에서 72명의 항역류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볼루스 노출이 기존 식도 산 노출 시간이나 DeMeester 점수(DMS)보다 증상 호전 예측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했다.
특히 위산 역류가 병리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환자에서도 볼루스 노출이 높은 경우 수술 후 증상이 유의미하게 개선됨을 입증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152명 환자를 대상으로 LES 길이 및 압력이 항역류 수술 후 증상 호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LES 길이가 4.05cm 이상이고, 안정압력이 19.65mmHg 이상일 경우 수술 후 증상 개선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체질량지수(BMI)가 23.67kg/㎡ 이상인 환자는 수술 후 증상 호전 가능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박성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항역류 수술 후 증상 호전을 구체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객관적 기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기존 주관적 보고 기반 진단법의 한계를 보완해 보다 정확한 근거하에서 치료 결정을 내리는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약물 및 수술 치료 효과가 불명확한 환자들에게 수술 효과를 수치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환자의 기대 수준에 맞춘 항역류수술 선택이 가능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외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IF 12.5, JCR 0.5%)’에 각각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