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기준인 체칠량지수(BMI) 30으로 처방되고 있는 데 대해 인구학적 특성 등을 고려한 처방 기준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철진 대한비만연구의사회 회장[사진]은 지난 16일 열린 제36회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개원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비만 치료 기준 제시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고비 등장으로 비만약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지만, 미국 처방 기준인 BMI가 우리나라에 그대로 적용되면서 약 처방이 필요한 환자에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이철진 회장은 "현재까지는 BMI 30(동반 질환이 있을 경구 BMI 27)을 기준으로 모든 비만치료제를 처방할 수 있다"며 "미국 FDA 기준으로 들어온 약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동일한 기준이 적용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전세계적으로도 BMI로 모든 걸 평가하는 것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며 "유럽 등에서도 BMI 및 동반 질환, 심리적인 상태를 바탕으로 새로운 비만 기준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한국인에는 BMI 23~25가 적합하며, 대사증후군 등 동반질환이 있다면 BMI 23까지 낮춰야 한다"면서 "의사회 역시 새로운 비만 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즉, 개원가 차원에서 현행 BMI 기준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해 의약품 처방과 관련한 정책적 근거로 제시하겠다는 것이다.
안상준 정책이사는 "비만 정의가 대부분 BMI로 이뤄지니 다양한 질환이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고, 연구자적 입장에서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라며 "정책적으로 보면 수많은 연구가 있어야 이를 반영할 이유가 생긴다"고 전했다.
안 정책이사는 "의사회는 이런 문제를 미리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를 쌓아가자는 취지로 연구를 진행한다"며 "연령·계층별 특징 분석 등 다양한 세부 연구를 통해 정책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