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와 연세대가 정한 의대생 복귀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부와 대학이 여전히 복귀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의대생들 복귀 여부가 향후 정책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가 된 만큼 정부와 대학은 조속한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압박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2총괄조정관은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대본 회의에서 "대규모 휴학 신청은 대학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교육여건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며 "지속적인 수업 거부가 이어질 경우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대부분의 의대가 개강했지만 많은 학생이 아직 복귀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학습 환경 개선과 지원을 지속하고 있으며, 교수진도 학생들의 빠른 복귀를 독려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의대생 개개인 진로와 의료계 미래를 위해 신중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수업 일수에 따른 복귀 시한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의대생들은 본인 꿈과 미래 의료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판단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정부뿐만 아니라 교육부도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교육부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결정한 뒤 의대생들 제적 가능성을 언급하며 복귀를 압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와 대학이 공동대응에 나서면서 의대생들 선택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18일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에 공문을 보내 "(의대생들의 휴학이)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에 의한 휴학 신청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서는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해 달라"며 사실상 휴학 차단령을 내렸다.
또한 의대생들의 대규모 휴학 신청에 대해서는 "대학 전체의 정상적인 학사 운영을 방해하고, 대학의 교육여건을 악화시켜 대학 내 다른 단과대·학생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장기적인 학사 파행과 의료인력 양성 공백이 보건의료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큰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단순히 학사 운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보건의료 체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사안이라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이에 의대를 운영하는 40개 대학 총장들은 정부 입장에 동조하며 의대생들 휴학 신청을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선진화를위한총장협의회(이하 의총협)는 지난 19일 온라인 긴급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하는 한편, 유급·제적 등 학칙상 사유가 발생하면 원칙대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는 사실상 복귀하지 않을 경우 불이익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학들도 개별적으로 의대생들 복귀를 촉구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연세대·고려대는 21일, 가톨릭대 24일, 서울대는 27일로 각각 설정한 복귀 시한을 앞두고 학생들에게 학사 불이익 가능성을 강조하고 했다.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도 같은 날 성명서를 통해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 정원 3058명을 반드시 지켜내겠다"며 "다시 한번 학생 여러분이 학업의 자리로 복귀하기를 호소한다"고 밝혔다.
의대생들 집단 휴학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와 대학이 단호한 입장을 밝히면서 복귀 여부 추이가 초미의 관심사로 집중되고 있다.
향후 정부의 추가적인 대응 조치와 의료계 내부 분위기 변화가 의대생들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