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 거부가 장기화될 경우 교육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다.
의교협은 21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현재 우리 의학교육이 역사적인 위기를 맞고 있다"며 "학생들의 고민과 결정을 존중하지만, 장기적인 수업 거부는 개인의 교육권을 넘어 의료 인력 양성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협의회는 “정부가 2026년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결정한 것은 의료계와 교육계의 다양한 논의를 반영한 조치로 생각된다”며 “그러나 여전히 많은 학생들이 수업 복귀를 거부하는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의교협은 현재 수업 거부 사태가 지속될 경우, 2024, 2025, 2026학번 학생들의 교육과정 일부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했다.
세 개 학년 이상이 한꺼번에 정상적인 교육을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교육의 질을 유지하면서 학생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히며 의대생들의 복귀를 재차 촉구했다.
의교협은 “의료계를 걱정하는 학생들의 고민과 갈등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도 “지금 필요한 것은 학생들과 의과대학이 머리를 맞대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교협, 메시지 단일화까지 ‘진통’
의교협은 이 같은 단일화된 목소리를 내기까지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의교협은 대한의학회,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 한국의학교육학회, 대한기초의학협의회, 의학교육연수원, 국립대학병원협의회, 사립대학교의료원협의회 등이 포함된 단체다.
앞서 의교협은 21일 오전 11시 기자회견을 열고 ‘의학교육 정상화에 관한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20일 오전 10시경 밝혔다. 하지만 바로 7시간 뒤인 오후 5시경 기자회견을 전격 취소했다.
의교협은 “내부 사정으로 인해 잠정 보류한다”고 설명했지만, 핵심 사유는 기자회견에 나서기로 했던 8개 단체 간 의견 차이였다.
의대생들의 극심한 반발 속에서 발표 내용이 학생들을 압박하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고, 메시지에 대한 합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던 것이다.
의교협은 "학업 복귀가 이번 사태의 끝이 아니라, 의료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참여로 이어져야 한다"며 "의료계 전체가 합심해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그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학생 여러분, 이제는 학업으로 복귀해 주길 바란다"며 "우리 의료제도는 단기적인 대책이 아니라 긴 안목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한다. 학생들이 대한민국 의료계를 이끌어갈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