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했지만 강의실 '적막'…2차 집단휴학 '우려'
마지막 인제의대 정상적으로 복학 완료…수업 정상화 가능성 촉각
2025.04.03 05:43 댓글쓰기



사진제공 연합뉴스

지난해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 간 갈등으로 1년 넘게 집단 휴학했던 전국 의대생들이 결국 복학을 선택했다. 


그러나 실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비율은 여전히 낮아, 진정한 수업 정상화까지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내년 의대 정원 조정을 '실제 수업 참여율'로 판단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 3월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대 복귀율은 96.9%다.


서울대와 고려대 등 주요 35개 대학은 100% 복귀했고, 아주대(99.6%), 연세대(93.8%) 등 나머지 대학도 90% 이상 복학을 마쳤다. 복귀율이 24.2%로 가장 낮았던 인제대 역시 지난 1일 미등록 학생 370명이 등록을 결정하면서 사실상 전국 의대생이 전원 학교로 돌아온 상태다.


하지만 등록률과는 별개로 실제 수업 참여율은 저조하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가 최근 전국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을 조사한 결과, 수업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 예정인 학생은 3.87%(254명)에 그쳤다. 가천대는 0.41%(1명), 한림대 0.64%, 주요 대학들도 참여율이 5%대 미만으로 낮았다. 


의대협은 등록 이후에도 투쟁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의대협은 지난 2일 "전원 복귀라는 기사가 많았지만, 결국 어디에도 학생들이 가득 찬 교실 사진은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협회 방향성은 '투쟁'으로 수렴됐다"며 "각 학교 대의원들과 지속해서 긴밀히 논의하고 있으며, 법적 자문을 비롯한 여러 방법들을 지원하고 있다. 각 학교에서는 대의원 안내를 잘 따라달라"고 학생들에게 알렸다.


이 와중에 대한의사협회는 지난달 말 "학생들을 믿는다. 어떤 결정이든 존중한다"고 밝혔을 뿐 방관적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학생들의 향후 집단행동 방향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수도권 소재 의대의 A교수는 "의대생들이 거의 전원 복귀한 건 긍정적이지만, 실제로 강의실까지 돌아올지는 여전히 미지수"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이어 그는 "학생들이 등록 후에도 계속 상황을 관망하며 누가 먼저 수업에 나가는지 눈치만 보고 있어 걱정"이라며 "지금의 어정쩡한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학생과 대학 모두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수강 신청은 최소로, 출석률은 줄어…강의실 복귀 '미지수'


실제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최소한의 수업만 수강신청하며 사실상 등교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채희복 충북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2일 CBS라디오 '시사직감'에 출연해 "본과 학생 176명이 수강 신청을 했지만 1학년 학생들은 8월에 개강하는 한 과목만, 2학년 학생들은 맨 마지막에 열리는 강의만 신청했다"며 "아직 이 강의들이 열리지 않아 학생들을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의예과 1학년 175명 중 4일 개강날 35명 정도 출석했는데, 7일에 18명이 남고, 10일이 되니 1명 나왔다"며 "신입생들도 의정사태의 엄중함을 알아서인지 이제 재학생들과 뜻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울산대에서는 복학한 의대생 상당수가 등록한 지 이틀 만인 지난달 30일 다시 휴학계를 제출하기도 했다. 대학 측은 이를 모두 반려할 예정이나, 학생들은 현재 진행 중인 온라인 강의에도 참여하고 있지 않다.


이처럼 복학은 했지만 수업에 나오지 않거나 재휴학을 추진하는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대학 현장은 정상적인 교육이 이뤄지지 못한 채 불안정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등록 여부보다 실제 수업 참여율로 학생들의 복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년도 의대 정원을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수업 복귀는 단순 등록이 아닌 실질적인 수업 참여를 의미한다"며 등록 후 수업을 거부하는 데 대해 "학교별로 연속 2회 유급이나 합산 3∼4회 유급이면 제적이 되는 학교들도 있다. 등록했어도 결국 제적될 수 있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국 의대 강의실이 정상적인 모습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의정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꺼지지 않고 있다. 결국 정부가 내년도 의대 정원을 실제 수업 참여율로 결정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향후 학생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댓글 0
답변 글쓰기
0 / 2000
메디라이프 + More
e-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