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19개월이 걸리던 바이오분야 특허심사 기간이 2개월로 줄어든다.
특허청은 바이오 분야를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 산업 심사를 전문적으로 하는 4개과를 신설하고, 1개과를 개편해 총 5개과 120명 규모의 바이오 분야 전담 심사조직을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새롭게 출범하는 ‘바이오기반심사과’, ‘바이오진단분석심사팀’, ‘바이오의약심사팀’, ‘헬스케어기기심사팀’, ‘헬스케어데이터심사팀’ 등이다.
여기에는 이번에 신규 채용한 35명의 민간 전문가와 기존 각 심사국에 있던 바이오 분야 심사관 85명을 전담 심사조직으로 통합시켰다.
이번 전담 심사조직 신설로 국내기업 혁신기술에 대해 안정적이고 신속한 특허 확보 지원이 가능해졌다.
현재 18.9개월에서 최대 2개월 내로 심사기간 단축은 물론 협의심사 등을 통해 심사 품질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바이오 분야는 국가첨단전략기술이자 우리나라 핵심 성장동력으로 2027년 세계시장 규모는 약 3조 30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 R&D에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반면 소수 우수한 특허로도 제품화·수익창출 및 장기간의 시장지배가 가능한 특징이 있어 선제·전략적 특허권 확보를 위한 기업의 신속한 심사서비스 요구가 높은 분야다
김완기 특허청장은 "이번 조직 신설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에 이어 바이오 분야까지 4대 국가첨단전략기술을 위한 특허심사 인력·제도·조직의 지원체계가 완성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지원은 우리 기업이 우수한 기술을 기반으로 세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